묘법연화경 언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묘법연화경
한글팀 묘법연화경 01 표지.jpg
한자명칭 妙法蓮華經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ion of The Lotus Sutra
작자 수월거사
간행시기 1903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21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3.8×24.3㎝
판본 필사본
수량 7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1903년 수월거사가 『묘법연화경』을 한글로 번역해 필사한 사경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표제의 『법화경(法華經)』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약칭이다. 이 책은 1903년 윤5월 11일에서 6월 26일까지 구마라집(鳩摩羅什, 334~413)의 한역본(漢譯本)을 바탕으로 필사되었는데, 필요한 부분만 발췌하여 옮긴 편역(編譯)이다. 각 책 제1면에는 황실과 국가의 안녕을 축원하는 발원문(發願文)이 있고, 각 장의 끝에는 시주자 명단이 있다. 이 명단에는 '출가하지 않은 여성 불교 신자'를 가리키는 '청신녀'라는 용어가 자주 보이고 있어 많은 여성들이 시주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1]

묘법연화경 언해의 유래와 대중성

묘법연화경』(산스크리트어: सद्धर्मपुण्डरीक सूत्र 삿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 →흰 연꽃과 같은 올바른 가르침)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이다.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이 경전을 한글로 언해한 것이다. 『법화경』의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영국인 호지슨이 네팔에서 발견한 것과 여러가지 단편(斷片)이 존재한다. 프랑스어와 영어를 비롯하여,한문, 티베트어, 위구르어, 서하어(西夏語), 몽골어, 만주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여러 민족들이 자주 읽는 경전이다. [2]

서쪽에서 전해진 묘법연화경 언해의 종류

현재 한문으로 번역된 『묘법연화경』은 세 종류가 있는데, 그 중에서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한『묘법연화경』 7권(후에 8권이 되었음)이 가장 널리 유포되어 있다. 『묘법연화경』에서 부처는 머나먼 과거로부터 미래영겁(未來永劫)에 걸쳐 존재하는 초월적인 존재이다. 그가 이 세상에 나타난 것은 모든 인간들이 부처의 깨달음을 열 수 있도록 대도(大道:一乘)를 보이기 위함이다. 그 대도를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이 경전의 핵심이다. 『법화경』은 모두 28개의 품(品: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량의경』,『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과 함께 『법화삼부경』(法華三部經)』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3]

한국에 전해진 묘법연화경 언해에 대해서

법화경』은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는데, 제일 먼저 이 경전이 들어온 것은 고구려였다. 고구려의 수도(427년 천도 - 668년까지)였던 평양의 대성산성(大城山城) 성돌 사이에서 1천 자 정도의 글자가 남은 묘법연화경이 발견되었는데, 현재 북한의 조선중앙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삼국유사』 기록에는 백제의 승려 혜현(惠賢)수덕사에서 아침저녁으로 『법화경』을 독송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신라의 승려 원효는 『법화경』의 교리를 해설한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를 짓기도 했다. 현재 한국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법화경』판본은 1236년에 간행된 『법화경』과 1467년(세조 13)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법화경』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이 송나라 계환(戒環)이 1126년(인종 4)에 저술한 『묘법연화경요해(妙法蓮華經要解)』 7권본이다. 『법화경』에 대한 연구 주석서로는 신라 시대 고승들의 저술을 비롯하여 중국 역대 고승들의 저술이 수십 종에 이르고 있다. 계환의 주해 판본이 우리나라에서 크게 알려진 까닭은 그 내용이 한국 불교의 흐름과 일치하고 문장이 간결하며 이해가 쉽기 때문이다. 현존 판본을 살펴보면 고려 시대 것 세 종류에 조선 시대의 것이 117종으로 모두 120종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고 있는 법화경판은 34종 3,036장이다. [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묘법연화경 언해 묘법연화경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묘법연화경 언해 수월거사 A는 B에 의해 필사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묘법연화경 수월거사 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 A ekc:translator B
묘법연화경 구마라집 A는 B에 의해 한역되었다 A ekc:translator B
묘법연화경 법화삼부경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무량의경 법화삼부경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 법화삼부경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묘법연화경 간경도감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묘법연화경요해 계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묘법연화경요해 묘법연화경 A는 B의 주석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묘법연화경 언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4세기 구마라집묘법연화경을 한역하였다.
1126년 계환묘법연화경요해를 편찬했다.
1236년 고려 왕조에서 묘법연화경이 간행되었다.
1467년 조선 왕조의 간경도감에서 묘법연화경이 간행되었다.
1903년 묘법연화경 언해가 필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31 127.054406 묘법연화경 언해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56쪽.
  2. 묘법연화경, 『위키백과』online.
  3. 묘법연화경, 『위키백과』online.
  4. 묘법연화경, 『위키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권희경, 「禑王 이후에 제작된 4질의 《妙法蓮華經》사경의 變相畵의 내용분석」, 『서지학연구』, Vol-28, 서지학회, 2004, 195~226.
    • 권형아, 「새로 발견된 한글 음역 사경 《묘법년화경》의 연구」, 『서지학연구』, Vol-29, 서지학회, 2004, 511~538.
    • 강순애, 「조선조 활자본계의 《묘법연화경》 판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0, 한국비블리아학회, 1999, 5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