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복도
Encyves Wiki
오복도(五服圖) | |
대표명칭 | 오복도 |
---|---|
한자표기 | 五服圖 |
정의
저자와 간행년이 모두 미상인 문헌으로 대전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1]
내용
문헌의 보존상태
비교적 큰 대형 고서로 벌집문양이 잘 남아 있는 표지의 좌측상단에 오복도(五服圖)라고 큰 글씨로 책명이 적혀 있다. 전체적인 책의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2]
문헌의 대략적인 내용
첫 장을 넘기면 오복연혁도목록이라고 해서 천자제후정통방기복도, 군위신복도, 신위군복도, 신종군복도... 등이 적혀 있으며, 그 뒤로는 가계도 같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3]
지식 관계망
- 상례초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오복도 | 상례초언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오복도 | 대전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오복도 | 오복연혁도목록 | A는 B와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오복도(五服圖)",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장동우, 「한강(寒岡) 《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의 예학사(禮學史)的 위상(位相)」, 『퇴계학과 유교문화』58,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75-126쪽.
- 김순미, 「《석문가례초(釋門家禮抄)》의 오복도(五服圖) 연구」, 『嶺南學』1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361-388쪽.
- 김시황, 「상례(喪禮) 오복제도(五服制度) 연구(硏究)」, 『퇴계학과 유교문화』22,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994, 45-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