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
구운몽(九雲夢) | |
대표명칭 | 구운몽 |
---|---|
한자표기 | 九雲夢 |
유형 | 고서 |
저자 | 김만중 |
저술시기 | 조선 숙종 연간 |
시대 | 조선 |
목차
정의
내용
구운몽의 저술배경
김만중은 노론계 인물로는 어울리지 않게 불교나 패서(稗書) 등에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런 점이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다.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소설변증설(小說辨證說)」에 의하면, 김만중이 귀양지에서 어머니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하룻밤 사이에 이 작품을 지었다고 한다. 혹은 중국에 사신으로 가게 된 김만중이 중국소설을 사오라 한 어머니의 부탁을 잊어버려 돌아오는 길에 부랴부랴 이 작품을 지어 드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
구운몽의 의의와 평가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의 결합
『구운몽』의 기본설정은 주인공이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뜻을 꿈 속에서 실현하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와 그간의 일이 허망한 한바탕의 꿈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꿈 속에서 이룬 욕망성취가 허망하고, 꿈에서 깨어나서야 비로소 진정한 화합이 이루어진다고 한 점은 다른 몽유소설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꿈 속의 주인공인 양소유의 삶이 '영웅의 일생'에 따라 전개된다는 점도 특이하다. 그러나 투쟁 보다 남녀의 만남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양상과는 거리가 있다. 결국, 『구운몽』은 몽유소설과 영웅소설을 변형시켜 결합한 작품이라 볼 수 있다.[2]
구운몽의 서술방식
구운몽은 현실-꿈-현실로 바뀌는 과정, 양소유가 8명의 여인과 만나고 헤어지는 과정을 묘미있게 꾸며 독자를 사로잡았다. 8명의 여인이 각기 개성을 갖추고 있으며, 환경·인물·심리를 우아하고 품위있는 문체를 활용하여 세밀하게 묘사해 놓은 것에서 작자의 뛰어난 창작력을 엿볼 수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운몽 | 김만중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언문후생록 | 구운몽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오주연문장전산고 | 구운몽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오주연문장전산고 | 이규경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갤러리
구운몽[4]
주석
- ↑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규복, "구운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설성경, 『구운몽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 배영희, 『구운몽과 동서철학의 만남 : 易學을 중심으로』, 민속원, 2000.
- 논문
- 윤경수, 「《구운몽》의 신화적 연구」, 『牛岩斯黎』8,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9.
- 정규복, 「《구운몽》 원작 재론」, 『국학연구총론』2, 택민국학연구원, 2008.
유용한 정보
- 정길수, "『구운몽』 - 동아시아 고전소설의 절정 ", 칼럼게시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