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단령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6일 (월) 21:0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단령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단령
이칭별칭 원령(圓領), 반령(盤領)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깃이 둥근 모양을 한 포(袍)로, 문무백관의 공복(公服)상복(常服).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문무백관의 공복(公服)상복(常服)

기본 정보

어원

  • 둥근 형태의 깃에서 유래해 깃이 둥근 모양을 한 포의 명칭으로도 사용됨.

유래

옷깃이 둥글고 소매가 좁은 포로 호복(胡服)에서 유래.[1]

시대별 형태 변화

① 조선 초기[2]

  • 모두 홑옷
  •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前短後長)의 형태.
  • 소매통은 좁은 편이며 화장이 길고, 대체로 진동보다 수구가 좁은 곡선형으로 수구쪽으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 의 형태는 대소안팍주름형과 대형밖주름형.
  • 단령깃은 대부분 정바이어스로 재단하여 목에 닿을 가장자리는 줄이고 길에 붙이는 부분은 늘리는 U자형.
  • 바대는 U자형과 凹자형, H형의 바대.

② 17세기 단령[5]

  • 홑옷과 겹옷이 나타나며, 앞뒤의 길이가 같음.
  • 옷의 품이 차츰 줄고 여밈 분량이 줄어들면서 이중섶이 사라짐.
  • 초반에는 콩깍지형 소매, 후반에는 두리소매가 나타나, 소매통이 60cm로 넓음.
  • 무는 대형바깥주름형과 뒤젖힘대주름형으로 뒷길 고정무의 위쪽에 매듭단추를 달아 무를 부착.
  • 허리에 각대를 걸 수 있는 각대고리가 등장.

③ 18세기[7]

  • 품이 전시기보다 줄어들었음.
  • 대고리와 함께 대를 묶는 끈이 달려 있음.
  • 출토유물은 겹옷에 소매는 두리소매.
  • 무는 뒷길고정무로 단추형과 상침형.

④ 19세기부터 대한제국[10]

  • 다양한 형태의 단령이 등장.
  • 고종 21년의 복제 개혁으로 상복(常服)과 시복(時服)은 반령착수(盤領窄袖)의 흑단령, 특별한 의식에만 흉배를 달아서 문무관의 품계를 구분.
  • ‘상복(常服)’이 ‘대례복(大禮服)’이라는 명칭으로 바뀌고 소매넓이가 좁아지고 색이 흑색으로 달라짐.
  • 소례복(小禮服)은 문관복으로 진현시에는 아무 때나 착용하고 대례복시에도 착용해도 되며 구성은 대례복과 같고 단지 흑단령의 소매가 좁은 것에만 차이.
  • 형태상 특징은 3겹 바느질과 4겹 바느질법이 등장.
  • 소매는 착수형의 소매와 두리소매형태.
  • 무는 뒷길고정무와 두루마기의 무 형태의 트임 없이 모두 막힌 형태와 하단 트임, 주머니 트임의 3가지 형식.

참고문헌

  • 대명회전(大明會典)
  • 대한예전(大韓禮典)
  • 삼재도회(三才圖會)
  • 악학궤범(樂學軌範)
  • 高光林(1979)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인천교육대학교 論文集, Vol.14 No
  • 권준희(2009) 「唐 복식 도입 이전의 團領衣」,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韓國文化 46
  • 金也之, 文光姬(1985) 佛畵를 通해 본 高麗服飾과 同時代 中國服飾의 比較硏究 -高麗十王圖의 團領을 中心으로-」, 부산대학교가정대학, 家政大學硏究報告 11輯.
  • 金東旭(1986) 「團領의 發生」, 한국복식학회, 服飾 第 10號.
  • 김미자(1988) 「한국의 團領과 일본의 團領의 비교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제17호.
  • 林栽永(1984)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 문공화(1999) 「조선시대 團領의 형태와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 문공화(2004) 「조선시대 團領의 着用規例와 實例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 文光姬(1987) 「團領으로 추정되는 袍衫名稱에 관한 資料調査」,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 文光姬(1987) 「中國 團領名稱에 關한 硏究」,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지 11권 1호.
  • 文光姬(1992) 「曲領과 團領의 比較硏究」, 동의대학교, 東義論集 vol.19.
  • 백영자(2000) 「전통 혼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 -단령과 원삼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論文集 30輯.
  • 孫敬子(1962) 「李朝時代 各階級에 따르는 團領과 諸服裝에 對한 考察」, 세종대학교, 愛知苑 Vol.1.
  • 송미경(2002) 「조선시대 여성 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52 no.8.
  • 신혜성, 박선희(2007)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服飾 vol.57 no.10.
  • 신혜성, 홍나영(2007)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v.15 no.6.
  • 李恩珠(1998) 「16세기 전기 단령의 구성법 일례-金欽祖(1461~1528)분묘 출토의 단령을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 복식문화연구 v.6 no.2.
  • 李春耕(2005) 「전통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진현자(2006) 「朝鮮 前期 團領의 모양 및 바느질법 硏究」,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崔銀水(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주석

  1. 崔銀水(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p. 1.
  2. 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51~65.
  3.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 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71~81.
  6.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7. 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87~100.
  8.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9.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10. 최은수(2004) 앞의 논문. pp. 104~117.
  11. 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