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초상
정약용 초상 | |
한자명칭 | 丁若鏞 肖像 |
---|---|
작가 | 김호석 |
제작시기 | 2009년 |
소장처 | 다산기념관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178×96㎝ |
목차
정의
조선후기의 실학자 정약용(1762~1836)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다산기념관의 <정약용 초상>은 강진군의 의뢰로 전통 초상화법의 대가인 김호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가 그린 작품이다. 다산의 유배지인 강진군은 원래 경기도 남양주시에 걸린 다산 영정을 복제해 다산초당 등 에 걸어왔다. 하지만 기존 영정의 관모나 의상이 다산이 살았던 시대와 맞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자, 약 8000만원의 군비를 들여 2008년 3월부터 새 영정 제작에 들어가 2009년 4월 17일 완성, 공개하였다.[1] 이후 다산초당, 다산기념관 등 강진군내 다산 관련 유적, 전시관에서 1974년 장우성 화백이 그린 〈정약용 표준영정〉을 대체하여 전시되고 있다.
초상화를 직접 제작한 김호석 교수는 “실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으로 그리고자 했으며, 과거의 기록을 샅샅이 뒤졌다. 무엇보다도 다산이 18년간 강진에 머물면서 역사상 가장 많은 저서를 저술했고 현재도 가장 존경받는 지식인의 표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다산 후손인 ‘나주 정씨 월헌공파 종회’를 찾아가 참석한 300여 명 후손들의 인상을 직접 관찰하기도 했고, 특히 다산의 직계 후손 4명의 인상을 자세히 관찰, 그 특징을 이번 초상화에 참고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사암선생연보』 등에 나타난 기록 또한 직접적인 참고자료가 되었다고 밝힌 김교수는, 다산이 어릴 적 천연두를 앓은 흔적으로 인해 눈썹이 세 갈래로 갈라져서 ‘삼미자(三眉子)’라고 스스로 별호를 지었다는 기록이며, 방대한 독서량과 저술로 인해 시력이 많이 악화되었다는 기록 등이었다고 구체적으로 제시했다.[2]
<정약용 초상>이 새롭게 제작된 후 영정 제작에 자문을 한 명지대 이태호 교수는 “유배 초기의 고뇌를 덜고 점차 학문에 전념하면서 편안해진 모습이 작품에 잘 표현됐다”고 평했고 김호석 교수는 새 영정은 무엇보다 철저한 역사적 고증을 거쳐 제작됐다고 강조했다.[3]
하지만 강진군이 2009년 새로 만든 다산 새 영정의 정부가 법적 절차를 통해 지정한 표준영정을 무시한 채 강진 자체만으로 영정을 제작한 것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새 영정이 정부문서나 다산의 고향인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의 후손인 나주 정씨 월헌종파 종회에서 외면당했고 군비 8000만원을 들여 강진만의 표준영정을 제작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4]
문헌에 기록된 외모
후대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정약용의 고손자인 정규영이 1921년 편찬한 『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다산의 외모에 대한 기록이 몇 가지 나온다.
1768년(영조 44, 7세) 오언시를 짓기 시작했다. 천연두를 앓아 오른쪽 눈썹 위에 흔적이 남아 눈썹이 세 개로 나누어지자 스스로 호를 삼미자(三眉子)라고 했다. 『삼미자집』이 있는데, 이는 10세 이전의 저작이다. 1770년(영조 46, 9세) 모친 해남 윤씨가 죽었다. 모친은 윤선도의 후손이다. 윤선도의 증손인 윤두서는 다산의 외증조부가 된다. 다산의 얼굴 모습과 수염이 공재를 많이 닮았다. 다산이 일찍이 문인들에게 말하기를 “나의 정분(精分)은 외가에서 받은 것이 많다.”라 하였다. |
||
출처: 송재소, 『다산시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5] |
이러한 기록을 통해 다산의 얼굴에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로 수염과 눈썹의 모양을 특정할 수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정약용 초상>은 우안팔분면에 머리에는 사방관을 쓰고 청색 도포에 둥근 안경을 쓴 모습으로 그려졌다. 다산이 입은 의복은 한국복식사의 권위자인 단국대 고부자 교수의 자문을 받아 당시의 의상을 재현했으며, 도포의 쪽빛을 표현하기 위해 강진지역에 식생하는 쪽을 구해 천연안료를 만들어 사용했다. 눈썹의 모양이나 수염의 표현 등에서 『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나오는 다산의 외모에 대한 기록들을 수용한 모습이 모인다. 시력이 안 좋았다는 기록을 반영해 안경을 쓴 모습을 그린 점이 이채롭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약용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정약용 초상 | 정약용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정약용 초상 | 김호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정약용 초상 | 다산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정약용 초상 | 사암선생연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암선생연보 | 정약용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사암선생연보 | 정규영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정약용 | 정규영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우안팔분면 | 정약용 초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사방관 | 정약용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도포 | 정약용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2009년 | 정약용 초상이 제작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4.5757800 | 126.7459590 | 정약용 초상은 다산기념관에 소장되어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송하훈, "안경 쓴 다산 초상화 완성 공개",
『강진고을신문』online , 작성일: 2009년 04월 22일. - ↑ 조경륜, "다산 정약용 초상화, 강진서 고증 거쳐 새로 태어나다",
『광주일등뉴스』online , 작성일: 2009년 04월 17일. - ↑ 정대하, "돋보기안경 쓴 다산",
『한겨레』online , 작성일: 2009년 04월 17일. - ↑ 주학춘, "다산영정 이대로 갈 것인가<하>",
『한겨레』online , 작성일: 2003년 07월 30일. - ↑ 송재소, 『다산시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
- ↑ 안현주, "다산 정약용, 173년만에 초상화로 환생",
『뉴시스』online , 작성일: 2009년 04월 17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