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2일 (수) 00:25 판 (지식 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완용(李完用)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이완용
한자표기 李完用
생몰년 1858년(철종 9)-1926년
본관 우봉(牛峰)
출생지 경기도 광주
시대 근대
대표저서 황후폐하치사문
성격 문신, 친일반민족행위자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을사오적 중 한 명으로 대표적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내용

출신과 배경

어려서 집안이 가난하여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나, 1867년 10세 때 친척이자 예방승지(禮房承旨)로 있던 이호준(李鎬俊)의 양자로 들어가면서 형편이 달라졌다.
1882년(고종 19) 증광별시에 문과로 급제하였고 1886년 규장각대교(奎章閣待敎)에 임명되었다. 이후 검교(檢校)·홍문관 수찬(修撰)·동학교수(東學敎授)·해방영군사마(海防營軍司馬)를 역임하였다. 1886년 육영공원(育英公院)에 들어가 영어를 배운 뒤 응교(應敎), 세자시강원 겸 사서(司書)를 지냈다.[1]

미국공사관과 구미파

1887년 주미특파전권공사 박정양(朴定陽)을 따라 미국으로 갔다가, 이듬해 5월 병으로 귀국하여 승정원동부승지·이조참의·외무참의·전보국회판(電報局會辦) 등을 지냈다. 이해 다시 주차미국참찬관(駐箚美國參贊官)으로 미국으로 갔으며, 12월 대리공사로 승진하고 1890년 돌아왔다. 이후 구미파(歐美派)로 알려졌다.[2]
그는 미국의 개화된 문물을 접하고 개화파가 되었지만 조선왕실에 대해 개화를 주창하지 않았으며 유교와 전통사상을 고수했다. 이후 주미공사관 관원들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 모임에 가담하였다. 이 때 구미인(歐美人)을 중심으로 친러파 세력이 결집되었으며 정동파(貞洞派) 수장으로 친일, 친청세력을 견제하였다.[3]

아관파천

1894년 김홍집(金弘集)내각의 외무협판이 되었고, 이듬해 5월 박정양내각에서 학부대신과 중추원의관으로 기용되었으며, 그 뒤 김홍집내각에서도 학부대신을 지냈다. 1895년 명성황후시해사건 후 학부대신에서 물러나 미국공사관 서기관 알렌(Allen, H. N., 安連)의 주선으로 미국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4]
1896년 이범진(李範晉) 등과 고종을 러시아공사관으로 파천시킨 공로로 박정양내각의 외부대신 겸 학부대신에 취임하고 농상공부대신 임시서리까지 겸하였다. 한때 독립협회에도 관여하였으나 외부대신으로 있으면서 각종 이권을 열강에게 넘겨준 일에 대한 책임으로 제명되었다.[5]

을사조약

1905년 학부대신으로 있으면서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로부터 조약체결의 제의를 받고, 일본군의 무력시위를 이용하여 어전회의를 열고 고종을 협박, 조약을 체결하게 함으로써 을사5적이 되었다.
강제로 조약을 체결하는 데 앞장선 공으로 의정대신임시서리 및 외부대신서리까지 겸하였다. 1907년 의정부 참정대신으로 농상공부대신서리·광산사무국총재까지 겸하였다. 이해 6월 이른바 내각관제가 공포되자, 내각총리대신으로 매국 내각의 수반이 되었으며, 궁내부대신서리를 겸하였다.[6]

한일신협약

1907년 6월 이른바 내각관제가 공포되자, 내각총리대신으로 매국내각의 수반이 되었으며, 궁내부대신서리를 겸하였다. 1907년 7월 헤이그특사파견을 계기로 초대통감 이토의 사주를 받아 고종의 퇴위를 강요하였고, 순종이 즉위한 뒤 한일신협약(정미7조약)의 체결에 관여하여 내정권을 박탈되게 함으로써 정미7적이 되었다. 1909년 7월에는 이완용 단독으로 기유각서(己酉覺書)를 맺어 대한제국의 사법권마저 일본에 넘겨주었다. 또한, 8월 10일 군대해산을 하는 등 일련의 친일공로로 일본정부로부터 욱일동화장(旭日桐花章)을 받았다.[7]

한일병합조약 체결

1909년 12월 명동성당 앞에서 이재명(李在明)의 칼을 맞고 오른쪽 폐를 관통당했지만 목숨을 건졌다. 1910년 8월 29일 총리대신으로 정부 전권위원(全權委員)이 되어 일본과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하였다. 조선통감부는 조선총독부로 명칭이 변경되고 데라우치가 초대 총독이 되었다. 이완용은 그 공으로 일본 정부에 의해 백작(伯爵)이 되었다.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이 되었고 1911년 조선귀족원 부회장을 역임하였다.[8]
1920년 매일신보에 경고문을 발표하여 3.1운동을 비판한 공로로 1920년 후작(侯爵)에 올랐으며 그의 아들도 일본으로부터 남작의 지위를 받았다. 1926년 69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완용은 정치행적과는 달리 글씨에 뛰어났다고 전해진다.[9]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완용 이호준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정동구락부 이완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완용 김홍집내각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완용 박정양내각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완용 아관파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완용 독립협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완용 을사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을사5적 이완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완용 한일신협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7적 이완용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이재명 이완용 A는 B를 공격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완용 한일병합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이완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완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이연복, "이완용", 『디지털성남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연복, "이완용", 『디지털성남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이연복, "이완용", 『디지털성남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완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9. "이완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완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이연복, "이완용", 『디지털성남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