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야산독서당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9일 (목) 00:1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대표명칭 제가야산독서당
한자표기 題伽倻山讀書堂
이칭 농산정(籠山亭),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
유형 한시
저자 최치원(崔致遠)
시대 신라시대



정의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

내용

신라 말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로, 칠언절구로 『동문선(東文選)』 권19에 전한다. ‘농산정(籠山亭)’, ‘가야산홍류동(伽倻山紅流洞)’이라고도 불린다.[1] 칠언절구 4수로 구성되어 있는 이 시는 자연을 통하여 현실적 고뇌를 극복하려는 심정을 나타낸 작품으로 세상의 온갖 시비(是非)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우의적(寓意的)으로 읊고 있다.[2]

제1수에서는 중첩된 바위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모습과 소리를 묘사한다. 이는 인간세상과 단절하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낸다. 제2수에서는 그 물소리가 사람소리를 분간하기 어렵게 한다고 말한다. 이는 시비소리가 난무하는 어지러운 세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다. 제3수에서는 서정적 자아의 심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제4수에서는 물로 하여금 온통 산을 감싸게 하였다고 말한다.[3]

최치원은 연보에 그가 39세이던 894년(진성여왕 8)에 ‘시무십여조(時務十餘條)’를 올리고 그 다음해에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에 은거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적어도 가야산에 은거한 40세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다.[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동문선 제가야산독서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민병수, "제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제가야산독서당", 『두산백과』online.
  3. "제가야산독서당", 『두산백과』online.
  4. 민병수, "제가야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