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의신편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8일 (수) 22:59 판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항의신편 |한자표기=抗義新編 |영문명칭= |이칭= |유형=실록 |저자=안방준 |역자= |편자=[[안방준]...)
항의신편(抗義新編) | |
대표명칭 | 항의신편 |
---|---|
한자표기 | 抗義新編 |
유형 | 실록 |
저자 | 안방준 |
편자 | 안방준 |
저술시기 | 1621년 |
간행시기 | 1625년 |
시대 | 조선 |
수량 | 4권 2책 |
판본 | 목판본 |
표기문자 | 한자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해군사관학교 박물관,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옥천 후율정사 |
목차
정의
조선 광해군 때 안방준(安邦俊)이 편찬한 의병장 조헌(趙憲)의 유문(遺文) 및 행록(行錄)을 수록한 책.[1]
내용
발행 및 구성
1619년(광해군 11) 판각(板刻)에 착수, 1621년에 완성하여, 1625년(인조 3)에 발행, 광포(廣布)하였다. 책머리에는 화수(畫手) 이징(李澄)이 그린 궁경양친도(躬耕養親圖), 빈례사노도(賓禮師奴圖), 지부복궐도(持斧伏闕圖), 도보과령도(徒步過嶺圖), 청참왜사도(請斬倭使圖), 청주파적도(淸州破賊圖), 금산사절도(錦山死節圖), 칠백의총도(七百義塚圖) 등 8도(圖)를 붙여 조헌의 일생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1614년에 쓴 이정구(李廷龜)의 서(序)와, 편자 안방준의 서(書)가 있다.[2]
내용상 권1.2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일본이 침입할 것을 확신하고 굳건한 자세로 이에 대비하자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무찌르면서 대책을 강구한 글이 수록되어 있다. 권4에는 의병 활동을 하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조헌에 대해 애도한 글이 부록으로 수록되어 있다.[3]
소장처
율곡 이이와 조헌을 제향하고 있는 옥천 후율정사에 1621년(광해군 13)에 판간한 항의신편(抗義新篇) 판목(板木) 125장이 보관되어 있다.[4]
1863년(철종14)에 송래희(宋來凞), 송근수(宋近洙) 등에 의해서 6권 2책으로 중간(重刊)된 목판본이 해군사관학교 박물관과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 4권 2책 중간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의신편 | 안방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항의신편 | 조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항의신편 | 옥천 후율정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옥천 후율정사 | 조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안방준 | 조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항의신편 | 국립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항의신편 |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항의신편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항의신편 | 이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항의신편 | 이정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항의신편 | 송래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항의신편 | 송근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619년 | 항의신편 판각(板刻)이 시작되었다. |
1621년 | 항의신편 목판이 완성되었다. |
1625년 | 항의신편이 발행, 광포(廣布)되었다. |
1863년 | 송래희, 송근수가 항의신편을 중간(重刊)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402357 | 127.671980 | 항의신편 판목(板木)이 옥천 후율정사에 소장되어 있다. |
37.497749 | 127.003627 | 항의신편 목판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35.127300 | 128.662480 | 항의신편 목판본이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37.625118 | 127.100095 | 항의신편 목판본이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이장희, "항의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항의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항의신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옥천 후율당",
『doopepia』online , 두산백과. - ↑ "항의신편 (건)",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항의신편 (건)",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항의신편",
『doopepia』online , 두산백과. - 이수건, "안방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방준",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더 읽을거리
- "중봉집",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문숙자, "보성 은봉종택과 대계서원 고문서 일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9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