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재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1일 (화) 10:58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재 |한자표기= 李縡 |영문명칭= |본관=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이칭= |시호= |호= 도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재(李縡)
대표명칭 이재
한자표기 李縡
생몰년 1680년-1746년
본관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
도암(陶菴)·한천(寒泉)
희경(熙卿)
시대 조선
대표저서 도암집(陶菴集)
이만창(李晩昌)
민유중(閔維重)의 딸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이재는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서 숙종의 처조카이자 노론을 대표하는 핵심인물들의 가까운 친인척으로써 노론의 중심인물로 활동했다. 이채(李采)의 조부이기도 하다.[1]

1702년(숙종 28)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관계에 진출하였으며, 『단종실록(端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1716년 '가례원류(家禮源流)’시비가 일어나자 노론 측에 가담하여 소론을 통박했고, 1719년에는 영남균전사(嶺南均田使)로 나가 토지정책을 논하다가 파직당한 적도 있었다. 1722년 임인옥사(壬寅獄事) 때 중부 만성이 옥사하자 벼슬을 그만두었다. 1725년(영조 1) 여러 번 소명을 받고 소를 올려 군흉(群凶)을 몰아낼 것을 청했으나 영조탕평책(湯平策)에 열중한 나머지 그의 소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 이후 용인의 한천에 살면서 오원(吳瑗) ·임성주(任聖周) ·김원행(金元行) ·송명흠(宋明欽) 등 많은 학자를 길러내어 훗날 북학(北學)사상 형성의 토대가 되었다.[3]

의리론(義理論)을 들어 영조의 탕평책을 부정한 노론 가운데 준론(峻論)의 대표적 인물로, 윤봉구(尹鳳九)·송명흠(宋命欽)·김양행(金亮行) 등과 함께 당시의 정국 전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당시의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는 이간(李柬)의 학설을 계승해 한원진(韓元震) 등의 심성설(心性說)을 반박하는 낙론의 입장에 섰다.[4]

예학(禮學)에도 밝아서 많은 저술을 편찬하였다. 용인의 한천서원(寒泉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도암집(陶菴集)』, 『도암과시(陶菴科時)』, 『사례편람(四禮便覽)』, 『어류초절(語類抄節)』 등이 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재 임성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재 김원행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재 송명흠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창협 이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재 이채 A는 B의 조상이다 A ekc:isLineageKinOf B

시각자료

주석

  1. "이재", 『위키백과』online.
  2.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이재",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이재", 『두산백과』online.
  4. 이재호, "이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이재",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이재", 『위키백과』online.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참조:"이재",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재", 『두산백과』online.
    • 이재호, "이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응백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이재",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거리

  • 논문
    • 김동준,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삶과 시문학」, 『한국한시작가연구』Vol.14, 한국한시학회, 291-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