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주세붕 초상(전신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0일 (월) 00:15 판 (참고문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세붕 초상(전신상)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주세붕 초상(전신상).jpg
한자명칭 周世鵬 肖像
작가 미상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60.6×87.5㎝


정의

조선시대 문신, 학자인 주세붕(1495∼1554)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주세붕 초상>은 녹색 단령을 입은 주세붕의 모습을 그린 전신상으로 초상 왼쪽에 따로 붙인 종이에 ‘증자헌대부예조판서겸지경연의금부춘추관사행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춘추관 성균관사신재주선생휘세붕자경유(贈資憲大夫禮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行嘉善大夫護照參判兼冬至春秋館成均館事愼齋周先生諱世鵬字景遊)’라는 글씨가 쓰여 있어 주세붕의 초상임을 알 수 있다. 주세붕의 집안에 전해오다가 1980년에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이 초상화는 16세기에 생존한 인물을 그린 것이지만 그 양식은 16세기와 조선 후기의 특징이 혼재되어 있다. 기본적인 상의 모습은 영주 소수서원에 전래된 보물 재717호 <주세붕 초상> 반신상과 매우 흡사하다. 체와의 밀착감이 떨어지는 관복의 부피감이나 고식적인 교의 표현은 다소 시대가 올라가는 초상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러나 운문이 아닌 운보문(雲寶紋)으로 그려진 관복은 17세기 말을 그 상한선으로 잡아 볼 수 있으며, 사모의 모정과 양각이 둥근 것, 족좌대 위의 화문석 표현 역시 조선후기의 시대양식을 보여준다.[1]
다양한 시대적 특징이 혼재되어있으며 16세기의 도상을 기본으로 후대의 양식이 반영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이 초상화를 본으로 삼은 그림이 경남 함안군 무산사에도 전해오고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주세붕 초상>은 녹색 단령을 입고 약간 우향을 한 채 공수자세를 취한 전신교의좌상이다. 교의에는 호피가 걸려 있고 칠기로 된 족좌대 위는 화문석으로 마무리되었다. 의복은 풍성한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어깨와 소매 자락의 구분 없이 계속 이어져서 양 어깨와 옷소매 선은 신체를 덮고 있다기보다는 둥글게 부풀어 있는 것 같다. 흉배의 문양은 서조인 듯 한데 정확한 종류는 확인되지 않는다.
얼굴은 살색을 매우 두껍게 칠했으며 음영 표현은 하지 않았다. 얼굴 윤곽선과 눈, 코, 입에는 진한 선을 사용하였다. 얼굴의 이목구비가 모두 크고 뚜렷한데, 특히 눈썹과 눈의 표현이 두드러진다. 눈동자는 완벽한 원형이며 눈의 모양도 도식적이다. 눈썹은 숱이 수북하며 색이 진한데 눈썹 털 하나하나를 그렸다. 이러한 윤곽선 위주의 표현은 이 초상화가 주인공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에 중점을 두었다기보다는 그 이미지를 인상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것임을 보여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세붕 초상(전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주세붕 초상(전신상) 주세붕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주세붕 초상(전신상)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주세붕 초상(전신상) 주세붕 초상(반신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단령 주세붕 초상(전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흉배 주세붕 초상(전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주세붕 초상(전신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 II』 국립중앙박물관, 2008, 227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435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허종성, "주세붕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