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로
이항로(李恒老) | |
대표명칭 | 이항로 |
---|---|
한자표기 | 李恒老 |
생몰년 | 1792년-1868년 |
본관 | 벽진(碧珍) |
이칭 | 초명 광로(光老) |
시호 | 문경(文敬) |
호 | 화서(華西) |
자 | 이술(而述) |
출생지 | 경기도 양평 |
시대 | 조선 |
국적 | 조선 |
대표저서 | 화서집(華西集),화동사합편강목(華東史合編綱目),주자대전차의집보(朱子大全箚疑輯補),화서아언(華西雅言) |
대표직함 | 공조참판(工曹參判),경연관(經筵官) |
부 | 이회장(李晦章) |
모 | 전의 이씨(全義李氏) |
유형 | 학자 |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내용
생애
1808년(순조 8) 한성부(漢城府)에서 실시한 초시(初試)에 합격했으나, 그 뒤로 더 이상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학문에만 매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조선 말기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을 대표하며 의병운동을 주도했던 최익현(崔益鉉), 김평묵(金平默), 유중교(柳重敎) 등이 모두 그의 문하이며, 이들을 그의 호를 따서 화서학파(華西學派)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항로는 1868년(고종 5) 음력 3월 18일에 사망했으며, 고향인 경기도 양평에 매장되었다.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 있는 이항로 선생 생가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묘역 인근에 세워진 사당의 터인 노산사지(盧山祠址)는 경기도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되어 있다.[1]
학문세계
조선 말 성리학의 대학자로 꼽히는 그의 학설은 주리론(主理論)이었으며, 우주론(宇宙論)에 있어서는 이원론을 주장했다.[2]
그의 사상은 애국사상과 자주의식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조 말기의 민족사상인 위정척사론의 사상적 기초가 되고, 나아가서 민족운동의 실천적 지도이념으로 승화되었다.[3]
평창 봉산서재
평창 봉산서재에 율곡 이이와 함께 제향되어 있다. 봉산서재가 위치한 평창군 봉평면 일대는 신사임당(申師任堂)이 율곡을 잉태한 곳이자 이항로가 후학(後學)을 길러내던 곳이기도 하다. 1903년 경 이항로의 문인인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 의암 유인석, 태은 추성구(泰隱 秋性求) 등이 강수계(講修契)를 조직하여 이이와 이항로를 모시는 강수재(講修齋)를 건립하였고, 이것이 곧 지금의 봉산서재이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이항로 | 평창 봉산서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이이 | 평창 봉산서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평창 봉산서재 | 유인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유인석 | 이항로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최익현 | 이항로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김평묵 | 이항로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유중교 | 이항로 | A는 B의 제자이다 | A ekc:hasMaster B |
이항로 | 이항로 선생 생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항로 | 노산사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항로 | 흥선대원군 이하응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08년 | 이항로가 한성부(漢城府)에서 실시한 초시(初試)에 합격하였다. |
1862년 | 이항로가 이하전(李夏銓)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의금부에 구금되었다. |
1866년 | 이항로가 동부승지(同副承旨)로 임명되었다. |
1868년 | 이항로가 사망하여 경기도 양평에 매장되었다. |
1895년 | 이항로의 문인들이 평창 봉산서재를 중건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99843 | 128.381732 | 평창 봉산서재에서 율곡 이이와 화서 이항로를 제향한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이항로 영정 [5]
영상
주석
- ↑ "이항로",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이항로",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홍순창, "이항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8월 19일. - ↑ "평창 봉산서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홍순창, "이항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8월 19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더 읽을거리
- "이항로", 『네이버고전문학사전』, 권영민, 2004. 온라인 참조: "이항로", 고전문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위정척사 사상으로 조선의 정체성을 지킨 이항로", 『한국의 위대한 인물』,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참조: "위정척사 사상으로 조선의 정체성을 지킨 이항로", 한국의 위대한 인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봉산서재",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온라인 참조: "봉산서재", 대한민국 구석구석,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평창 봉산서재",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이학원, "봉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