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노량진 사육신묘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9일 (일) 12:00 판 (새 문서: {{유물유적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노량진 사육신묘 |한자표기= 鷺梁津 死六臣墓 |영문명칭= |이칭= |유형= |시대= 조선 |지정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노량진 사육신묘
(鷺梁津 死六臣墓)
대표명칭 노량진 사육신묘
한자표기 鷺梁津 死六臣墓
시대 조선
지정번호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8호
지정일 1972년 05월 25일
관련인물 박팽년(朴彭年), 유응부(兪應孚), 이개(李塏), 성삼문(成三問), 하위지(河緯地), 유성원(柳誠源)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鷺梁津洞)에 있는 사육신의 묘.

내용

조선 1456년(세조 2) 조선의 6대 임금인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목숨을 바친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유응부(兪應孚)·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 6명의 신하 즉 사육신(死六臣)을 모신 곳이다.[1]

이들은 1455(단종 3)에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이 왕위를 빼앗고 단종을 몰아내자 이에 분개하여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참혹한 최후를 맞았다. 사육신의 충절과 의기를 추모하여, 1691년(숙종 17) 이곳에 민절서원(愍節書院)을 세우고, 1782년(정조 6)에는 신도비(神道碑)를 세웠다. 서울시는 1955년 그 자리에 육각(六角)의 사육신묘비를 세우고 묘역을 수축하였고,[2] 1978년에는 3,240평이었던 묘역을 9,370평으로 확장하고 의절사, 불이문, 홍살문, 비각을 새로 지어 충효사상의 실천도장으로 정화하였다.[3] 원래 이곳에는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이개(李塏)·유응부(兪應孚)만 묻혔으나, 1977∼1978년 사육신묘역 정화사업 때 하위지(河緯地)·유성원(柳誠源)·김문기(金文起)의 가묘(假墓)도 추봉(追封)하였다. 1972년 5월 25일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8호로 지정되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노량진 사육신묘 사육신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노량진 사육신묘 조선 세조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노량진 사육신묘 조선 단종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사육신묘",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사육신묘", 『두산백과』online.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돌베개, 2009. 온라인참조:"사육신묘", 답사여행의 길잡이:서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사육신묘",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육신묘",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사육신묘", 『두산백과』online.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돌베개, 2009. 온라인참조:"사육신묘", 답사여행의 길잡이:서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이재호, "사육신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