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관

Encyves Wiki
장원석DH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8일 (토) 01:36 판 (참고문헌)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문관(弘文館)
대표명칭 홍문관
한자표기 弘文館
이칭 옥당(玉堂)·옥서(玉署)·영각(瀛閣)·서서원(瑞書院)·청연각(淸燕閣)
창립시대 조선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경서(經書)·사적(史籍)의 관리와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각종 자문에 응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 [1]

내용

조선시대 이전, 홍문관의 연원

신라시대에도 상문사(詳文師)·통문박사(通文博士) 또는 서서원이 있었고, 고구려와 백제에도 박사의 제도가 있어 학술적인 관부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홍문관의 연원은 중국 당나라에서 비롯되었다. 626년(당, 고조 9)에 당나라에서는 수문관(修文館)을 개칭해 홍문관이라 했고, 학사(學士)직학사(直學士)를 두었다. 직무는 도적(圖籍)을 수장(收藏), 정리, 교정하고 생도를 교육하며 조정의 제도와 의례에 관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여러 관전(館殿)의 하나로서, 995년(성종 14) 숭문관(崇文館)을 개칭해 홍문관이라 했고 학사를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에는 학사직학사를 두었다. 직무는 시종(侍從)·시강(侍講)으로서, 문신 중 재학(才學)이 있는 자로서 겸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고려시대의 관전은 치폐(置廢)와 변동이 잦았다.[2]

조선시대 홍문관의 위상

조선시대에는 학술적인 관부이자, 사헌부·사간원과 더불어 삼사(三司)라고 하였다.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홍문관직은 청요직(淸要職)의 상징이었으므로 홍문관원이 되면 출세가 보장되었다. 조선시대의 정승·판서로서, 홍문관을 거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후 1463년(세조 9)에 양성지(梁誠之)의 건의에 따라 장서각(藏書閣)홍문관이라 했는데, 이때의 홍문관은 장서기관(藏書機關)이었을 뿐이다. 1478년(성종 9)에야 비로소 학술·언론기관으로서의 홍문관이 성립하였다. [3]

조선시대 홍문관의 잦은 명칭 변경과 그 과정

그 과정을 보면, 세조가 집현전을 혁파한 뒤, 집현전의 기능은 부분적으로 예문관에 의해 계속되었다. 세조가 젊고 유능한 문신을 뽑아 예문관직을 겸하게 하여 학문에 전념할 수 있도록 조처한 것이 한 예이다. 그러나 예문관으로는 과거 집현전의 기능을 완전히 대행할 수 없었다. 결국 1470년(성종 1)에 옛 집현전 제도에 의해 15인의 전임관(專任官)을 예문관에 더 둠으로써 예문관은 종래의 예문관과 구 집현전의 기능을 겸했다. 1478년(성종 9) 2월에는 직제도 집현전과 예문관의 복합체가 되었다. 이에 따라 예문관 분관(分館)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그해 3월에 구 집현전의 직제를 예문관에서 분리해 당시 유명무실한 기관이던 홍문관에 이양함으로써 비로소 집현전의 직제와 기능을 이은 홍문관의 성립을 보게 되었다. 그 뒤 1504년(연산군 10)에 홍문관진독청(進讀廳)으로 개칭하고 전임관을 없애고 예문관의 관원으로 겸하게 했으나 1506년(중종 1) 다시 복구하였다. 이후 이러한 체제로 계속되다가 1894년 갑오개혁으로 홍문관예문관을 합해 경연청(經筵廳)이라 하였다. 이듬해에는 이를 폐해 시종원(侍從院)에 속하게 했고, 그 해 관제 개정으로 경연원(經筵院)이 되었다가 1896년에 다시 홍문관으로 개칭하였다. [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홍문관 당나라 수문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고려 숭문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우암계녀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분류두공부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어제계주윤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홍문관 집현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규장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갑오개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신용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이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경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예문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채제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서명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홍문관 예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최승희, "홍문관(弘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승희, "홍문관(弘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승희, "홍문관(弘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4. 최승희, "홍문관(弘文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경국대전』
    • 『증헌문헌비고』
    • 『홍문관지』

더 읽을 거리

  • 논문
    • 송옹섭,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韓國思想史學』, 한국사상사학회, Vol.55 No.- , 2017, 1-47쪽.
    • 조윤혜, 「조선 정치의 성격과 특징 교육 연구 : 홍문관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역사교육전공), 2011.
    • 최승희, 「홍문관의 언관화」, 『朝鮮時代史學報』, 조선시대사학회, Vol.18 No.- , 2001, 35-61쪽.
    • 최승희, 「弘文館의 成立經緯」,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Vol.5 No.- , 1970, 101-115쪽.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