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 | |
대표명칭 | 민족대표 33인 |
---|---|
한자표기 | 民族代表三十三人 |
유형 | 사회정치단체 |
소재지 | 서울 |
창립자 | 손병희(孫秉熙) 외 |
창립시대 | 일제강점기 |
창립일 | 1919년 3월 1일 |
주요업무 | 3.1독립선언서 낭독 |
목차
정의
1919년 일어난 3.1운동 당시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킨다.
내용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강대국의 지배를 받던 나라들 사이에서 독립운동이 활발해졌다.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 선언(2.8독립선언)을 한 데에 자극을 받아 국내에서도 독립 선언을 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었다.
서로 다른 단체들에 의해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던 기존 활동과는 달리 각계를 아우르는 통합 민족 단체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었다. 이에 일제의 감시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던 종교계를 필두로 독립선언에 관한 논의가 1919년 2월경부터 진행되었으며, 특히 천도교와 그리스도교는 3.1운동의 초기 조직단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민족대표 결성
권동진·오세창·최린 등이 손병희를 만나 상의한 데 이어, 송진우·현상윤·최린·최남선 등이 독립선언 진행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천도교·기독교·구한말의 유지를 조선민족대표로 하여 그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독립이유서를 각국에 보내기로 결정한 후 서명할 인사들을 찾아나섰다. 송진우·최남선은 구한말의 대신들을 만나 상의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해 민족대표에서 그들을 제외키로 했다.
한편 기독교 측은 이승훈, 천도교 측은 최린이 각각 교섭에 나서 많은 동지를 얻었으며, 이를 안 불교 측에서도 한용운·백용성 등이 가담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독교 측 16명, 천도교 측 15명, 불교 측 2명으로 모두 33명이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기로 결정하고 총대표에 손병희를 추대함으로써 민족대표 33인이 결정되었다.[1]
독립선언서 제작
독립선언서 작성은 천도교에서 총괄하였다. 천도교 측의 원고 지침에 따라 최남선(崔南善)이 기초를 작성하고, 천도교 인사 오세창(吳世昌)이 인쇄 총책임을 맡았으며, 천도교 직영의 인쇄소인 보성사 사장 이종일(李鍾一)이 총실무를 담당했다. 2월 27일 극비리에 독립선언서 2만 1000장이 인쇄되었고 각계 인사들에 의해 사전 배포가 이루어졌다.
독립선언서 낭독
민족대표 33인은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에 모이기로 했으나 늦게 온 사람이 있어 오후 3시가 되어서야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모였다.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기존에 약조했던 파고다공원이 아닌 인사동에 위치한 음식점 태화관에서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모든 행사가 끝난 때가 오후 4시 무렵이었다. 그들은 총독부 정무총감 야마가타 이자부로에게 전화를 걸어 독립선언 사실을 알렸다. 헌병과 순사들이 태화관에 들어닥쳐 민족대표를 남산 경무총감부와 지금의 중부경찰서로 연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해 체포를 피한 김병조와 나중에 무죄 판결을 받은 길선주, 그리고 체포 직후 구금 중에 사망한 양한묵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사건으로 징역 1년 6개월에서 3년형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들 중 손병희 등은 복역 후 병사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독립선언식 | 3.1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독립선언식 | 태화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태화관 | 태화빌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족대표 33인 | 손병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권동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오세창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임예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나인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홍기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박준승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양한묵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권병덕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김완규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나용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종훈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홍병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종일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최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승훈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박희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갑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오화영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최성모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필주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김창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신석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박동완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신홍식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양전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이명룡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한용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백용성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김병조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정춘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유여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독립선언식 | 태화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태화관 | 태화빌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3.1독립선언서 | 최남선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3.1독립선언서 | 한용운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3.1독립선언서 | 보성사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보성사 | 이종일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19년 2월 8일 | 조선인 유학생들이 2.8독립선언을 일으켰다. |
1919년 2월 | 민족대표 33인이 3.1독립선언서를 작성하였다. |
1919년 3월 1일 | 민족대표 33인이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1986 | 126.984834 | 민족대표 33인은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민족대표 33인", 한국근현대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위키백과 기여자, "민족대표 33인",
『위키백과』online , 최종확인:2017년 7월 29일. - ↑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상)』, 서문당, 1920.
- 신복룡, 『한국사 새로 보기』, 도서출판 불빛,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