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석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23일 (목) 10:01 판 (새 문서: {{역사인물정보 |사진= |대표명칭=이경석(李景奭) |영문명칭= |생년=1595(선조 28) |몰년=1671(현종 12) |국가=조선 |시호=문충(文忠) |호=백헌(白...)
틀:역사인물정보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정종의 열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의 6대손이며, 병자호란 시기에 인조가 남한산성을 나와 청나라에 무릎을 꿇고 굴복하여 전쟁이 끝나자 청나라의 요구에 의해 승전을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썼다.[1]
관련정보
node | relation | node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ㆍ守眉禪師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이경석(李景奭) |
서울 삼전도비 (서울 三田渡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이경석(李景奭) |
이경석(李景奭) | 는 -와 관련있다 |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李景奭 几杖 및 賜几杖 宴會圖 畵帖) |
참고자원
사료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백헌집(白軒集)』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단행본
- 이성무, 『영의정의 경륜』, 지식산업사, 2012.
논문
- 강혜선,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의 삶과 시세계」,『한국한시작가연구』Vol.10, 2006, 127-159쪽.
- 송강호, 「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의 연구: 만한문 대역을 중심으로=삼전도 대청황제공덕비연구」, 『만주연구』Vol.11, 2011, 293-358쪽.
- 이상배, 「병자호란과 삼전도비문 찬술」,『강원사학』Vol.19, 2004, 85-122쪽.
- 이은순, 「이경석(李景奭)의 정치적생애와 삼전도비문시비(三田渡碑文是非)」,『한국사연구』Vol.60, 1988, 57-102쪽.
- 이은순, 「이경석의 국정운영과 대외 시국인식」,『조선시대사학회』Vol.29, 2004, 105-136쪽.
웹자원
사료 및 자료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광해군(光海君) 5년(1613)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2위)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인조(仁祖) 1년(1623) 계해(癸亥)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5위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인조(仁祖) 4년(1626) 병인(丙寅) 중시(重試) 갑과(甲科) 1위
사전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이경석
- 두산백과(doopedia). 이경석
- 인명사전(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이경석
- 위키백과, 이경석(1595년)
- 디지털용인문화대전, 이경석
- 디지털성남문화대전, 이경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