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3일 (월) 23:29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휴정 진...)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
한자명칭 | 休靜 眞影 |
---|---|
작가 | 미상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유형 | 진영 |
크기(세로×가로) | 127.2×78.5cm |
목차
정의
조선시대 고승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의 모습을 그린 진영.
내용
진영의 제작 및 보관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두 점의 <휴정 진영>이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동원 이홍근 기증의 <휴정 진영>으로 동원 이홍근이 어떻게 입수했고 어느 사찰에 봉안되어 있었는지는 현재 알 수가 없다. 화면 좌측에 선조로부터 하사받은 ‘일국도대선사 팔도선교도총섭 부종수교 보제등계존자(一國都大禪師八道禪敎都摠攝扶宗樹敎普濟登階尊者)'의 칭호가 적힌 표제가 있다.
시호가 있어 입적한 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이며 서산대사에 대한 존경과 추모의 정을 보여준다. 임진왜란 후 임난 삼화상(壬亂 三和尙)의 하나로 주로 사명당, 기허당과 함께 그려지던 청허당 휴정의 단독 진영으로서도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진영에 묘사된 모습
좌안팔분면의 등받이가 높은 의자에 앉은 의자상으로 왼손에 주장자를 들고 , 오른손은 팔걸이를 붙잡고 있다. 회색의 승복에 적색 격자문의 가사를 잘 조화시키고 있다. 바림기법, 화문석 배경 등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나타나는 특징이다.[1] 화문석의 문양은 투시도법을 적용하여 비스듬히 그려져야 하나, 마치 수직으로 선 것처럼 그려진 것이 특색이다.
안면은 하얗게 처리한 다음 이목구비를 선으로만 나타낸 일반적인 승상과 유사하다. 엷은 색조의 바탕 위에 가늘고 고른 필묘로 얼굴의 온화한 미소를 잘 묘사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진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휴정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좌안칠분면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장자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승복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가사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38510 | 126.9804700 | 휴정 진영(국립중앙박물관2)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국립문화재연구소,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85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문명대, 『한국의 불화』, 열화당, 1977.
- 성보문화재연구원 , 『한국의 불화』10, 성보문화재연구원 , 1996.
-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중앙일보사, 1984.
-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영혼의 여정 : 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국립중앙박물관, 2003.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