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선도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3:2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헌선도
(獻仙桃)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표명칭 헌선도
한자표기 獻仙桃
유형 작품


정의

고려 때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1]

내용

우리 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대개 문종 때로 추정된다. [2]

작품 내용

정월 보름날 밤 가회(嘉會)에 군왕을 송도(頌禱)하기 위하여 왕모(王母)가 선계(仙界)에서 내려와 선도(仙桃)를 주는 것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다.[3]

작품 구성 및 사용된 음악

춤은 선모(仙母) 1명, 협무(挾舞) 2명, 죽간자(竹竿子) 2명, 봉탁(奉卓) 1명, 봉반(奉盤) 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의장대(儀仗隊)가 따로 있으며, 반주음악은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는 당악곡(唐樂曲)만을 사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조선 말기의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에는 <보허자령(步虛子令)>·<여민락령(與民樂令)>·<향당교주(鄕唐交奏)> 등의 음악을 사용한 것으로 전한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궁중정재무도홀기≫가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당악정재 헌선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헌선도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사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보허자령 헌선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여민락령 헌선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당교주 헌선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궁중정재무도홀기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주석

  1. 장사훈, "헌선도(獻仙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사훈, "헌선도(獻仙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장사훈, "헌선도(獻仙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장사훈, "헌선도(獻仙桃)",『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고려사(高麗史)』
    • 『고려도경(高麗圖經)』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 단행본
    • 차주환, 『당악(唐樂)연구』,범학도서, 1976.
    •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일지사, 1977.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흥구, 손경순, 『한국궁중무용총서 . 1 , 헌선도(獻仙桃)·오양선(五羊仙)·수연장(壽延長)』, 보고사, 2008.
    • 국립국악원, 『궁중 뭉용 무보(7) : 사선무, 헌선도, 문덕곡, 경풍도』, 국립국악원, 1994.
  • 논문
    • 강민정, 「헌선도의 변천 양상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정, 「정재 창작 구성원리에 대한 일고찰 : 헌선도ㆍ경풍도ㆍ만수무ㆍ헌천화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4.
    • 김현주, 「당락 정재 헌선도에 관한 연구 - 문헌상의 헌선도와 현행 헌선도의 비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999.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헌선도", 『한겨레음악대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 "헌선도", 『국악정보』online,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