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중식-8.15해방
Encyves Wiki
8.15해방 | |
작가 | 윤중식 |
---|---|
제작연도 | 1967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기념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차
정의
1945년 8월 15일 광복의 순간을 윤중식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45년 8월 15일의 광복은 그 한 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민족의 독립 투사들을 비롯한 수많은 국민들이 지속적으로 투쟁해온 결과이다. 그림에서도 묘사되었듯이 남녀노소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지상 혹은 지하에서 활발하게 독립운동을 진행하였던 것이다. 또 하나의 소재로서 작품 내에 여기저기 등장하는 태극기는 그 자체로 독립운동의 상징이자 독립에 대한 염원이었다. 3.1운동 당시에는 많은 독립 투사들이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몰래 태극기를 숨겨 놓고 있다가 발각되어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작품 구도
그림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①②③ 푸른 논밭에서 태극기를 휘날리며 춤을 추고 있는 농민들과 ④⑤⑥⑦⑧⑨ 어두컴컴한 지하에서 차분하게 기쁨을 나누고 있는 지식인들의 대비이다. ①②③⑥⑨ 흰 비둘기들은 분리되어 있는 두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날아다니고 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윤중식-8.15해방 | 윤중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윤중식-8.15해방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윤중식-8.15해방 | 광복절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윤중식-8.15해방 | 독립운동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광복절 | 독립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독립운동 | 3.1운동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민족대표 33인 | 3.1운동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3.1 독립선언서 | 민족대표 33인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67년 | 윤중식이 윤중식-8.15해방을 제작하였다. |
1945년 | 우리나라가 일제로부터 독립하였다. |
1949년 | 광복절이 국경일로 제정 및 시행되었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윤중식-8.15해방을 소장하고 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5557 | 127.0547403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윤중식-8.15해방를 소장하였다. |
관련 민족기록화
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 430호-광복절 18주년 기념식(게시일: 2016년 10월 16일)
주석
- ↑ "기록화제작상황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전시회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기록화제작상황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전시회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김경제, "광복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6월 11일.
- 김경제, "광복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