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12:1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간송미술관
한자표기 澗松美術館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97-1
관련인물 전형필
관련단체 간송미술문화재단
관련유물유적 훈민정음 해례본


정의

간송 전형필이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이다.[1]

내용

보화각의 건립

전형필은 1934년부터 서울 성북동의 선잠단의 북쪽에 위치한 북단장을 매입하여 미술관의 건립을 기획한다. 최초의 근대 건축가 박길룡에게 서구식 미술관의 건립을 의뢰하였고 1939년 '보화각'으로 건립되었다. 1939년 7월 오세창이 보화각의 상량식에 참가하여 글을 짓기도 한다. [2]

간송미술관과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62년 전형필이 사망하자, 유족들은 집안의 사업과 보성학교를 건사하는 것으로도 벅찬 상황이었다. 1965년 장남 전성우가 귀국하고, 김상기, 이홍직, 최순우, 김원룡 등을 모아 한국민족미술연구소를 설립한다. 이후 보화각은 '간송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1971년부터 유물이 대중에게 공개된다. [3]

주요 소장품

2011년 현재 『훈민정음』·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등 국보 12점, 보물 10점 등의 국가지정문화재와 서울시 지정문화재 4점이 등록되었다. [4]

전시 방향의 변화

현재 전시회는 회화·서예·도예·서화로 나뉘어 매년 봄·가을 2주일씩 2회 개최된다.[5] 2000년대 대중적 인지도와 관심이 증가하자 미술관 건물과 시설에 부담이 가기 시작했다. 이는 정기 전시기간 중 관람객들의 큰 불편으로 이어졌다. 한국민족미술연구소와 간송미술관의 연구활동과 일반 공개 전시회가 변화해야할 시점에 도달했다는 판단으로 2013년 8월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출범하였다. 2014년부터 DDP등 의 외부기관에서도 전시를 여는 등 그 활동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간송미술관 훈민정음 해례본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간송미술관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간송미술관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간송미술관 전형필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간송미술관 박길룡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간송미술관 북단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전형필 오세창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성우 전형필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전성우 김상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성우 이홍직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성우 최순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성우 김원룡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형필 김상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형필 이홍직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형필 최순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전형필 김원룡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38년 전형필간송미술관을 건립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936194 126.9946618 간송미술관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되어 있다.

주석

  1. "미술관 소개", 『간송미술문화재단』online, 간송미술문화재단
  2. "미술관 소개", 『간송미술문화재단』online, 간송미술문화재단.
  3. "미술관 소개", 『간송미술문화재단』online, 간송미술문화재단.
  4.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미술관 소개", 『간송미술문화재단』online, 간송미술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