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허각이씨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10:4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빙허각이씨(憑虛閣李氏)
대표명칭 빙허각이씨
한자표기 憑虛閣李氏
생몰년 1759-1824
본관 전주
빙허각
시대 조선
대표저서 빙허각전서, 규합총서
배우자 서유본
이창수
이창수 처 문화 류씨



정의

조선 후기의 여류학자로 『규합총서』의 저자이다.

내용

빙허각이씨의 가족관계

아버지는 평양감사(平壤監司) 이창수(李昌壽), 어머니는 문화 유씨(文化柳氏)로 『유희(柳僖)의 고모이며 유희의 아버지인 유한규(柳漢奎)와 남매지간이다. 유한규의 아내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빙허각이씨의 외숙모가 된다. 빙허각이씨사주당이씨가 『태교신기언해』를 저술했을 때 발문을 지어주었다. [1]

빙허각이씨의 생애

빙허각이씨는 15세인 1773년 서유본(徐有本)과 결혼하였다. 서유본의 친가는 명망 있는 소론의 가문이었으며, 외가도 학문으로 이름있던 가문이라, 집안에는 항상 많은 장서들이 있었다고 한다.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는데 아들 1명과 딸 2명만을 남기고 모두 어려서 죽었다. 남편인 서유본은 40세가 넘어서 벼슬에 오르지만 숙부 서형수의 옥사 때문에 벼슬에서 일찍 물러났다. 이런 까닭에 집안이 경제적으로 곤궁해져서 빙허각이씨는 몸소 차밭을 일구며 생활하기도 했다. 이때 자신의 생활지식과 실학서의 내용을 종합한 가정백과사전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저술하였다. 1822년 남편 서유본이 사망하자, 남편을 위해 「절명사(絶命詞)」를 짓고 1824년 6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

빙허각이씨의 저술활동

저서로 『빙허각전서(憑虛閣全書)』 3부 11책이 전하는데, 제1부는 『규합총서(閨閤叢書)』 로 1809년에 저술하였다. 제2부는 『청규박물지(淸閨博物志)』이고, 제3부는 『빙허각고략(憑虛閣稿略)』인데, 현존하는 것은 제1부인 『규합총서』뿐이고 나머지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3]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규합총서 빙허각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이창수 빙허각이씨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이창수 처 문화 류씨 이창수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유한규 이창수 처 문화 류씨 A는 여형제 B가 있다 A ekc:hasSister B
사주당이씨 유한규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태교신기언해 사주당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태교신기언해발문 태교신기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태교신기언해발문 빙허각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빙허각이씨 서유본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빙허각전서 청규박물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빙허각전서 규합총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9 빙허각이씨가 규합총서를 저술하였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정양완, "빙허각이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양완, "빙허각이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정양완, "빙허각이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