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은집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6일 (월) 18:03 판 (내용)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은집(牧隱集)
대표명칭 목은집
한자표기 牧隱集
유형 비문
저자 이색{李穡)
편자 이색{李穡)
간행시기 1404년
시대 조선시대
수량 55권 24책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의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이자 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

내용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까지의 학자이자 정치가인 이색(李穡)의 시문집으로, 시고(詩稿) 35권, 문고(文稿) 20권으로 되고, 기(記) ·설(說) ·서(序) ·표(表) ·전(箋) ·교서(敎書) ·송(頌) ·찬(贊) ·명(銘) ·잠변(箴辨) ·답문(答問) ·제(題) ·발(跋) ·제문(祭文) ·탑명(塔銘) ·묘문(墓文) ·전(傳)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

1404년(태종 4) 아들 종선(宗善)에 의하여 간행되었던 이 책은 13년간 세상에 유포되었으나 1417년 음양참위서(陰陽讖緯書)를 금하는 율령이 내려져 이색의 문집도 거두어들이는 일이 생겼다. 이 책은 음양금기에 관련된 것이라기 보다는 조선왕조의 세계(世系)에 관한 기록 때문이라고 추측된다.[2]

이색의 시문(詩文)은 방대한 양일 뿐 아니라, 간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詩)와 문(文)을 갈라서 따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즉, 후손 계전(季甸)이 오언·칠언 고(古)·율시를 선별, 분류해 『목은시정선 牧隱詩精選』 6권을 편찬하고, 서거정(徐居正)의 서문을 붙여 후손 봉(封)에게 간행하게 한 판본이 현재에도 전하고 있다. 또한 문(文)만을 모아 『목은문고(牧隱文稿)』 18권은 1583년 홍주목사 최흥원(崔興遠)이 간행한 바 있다. 그 뒤 임진왜란을 겪고 난 뒤, 거의 유전되지 않는 상태였으므로 다시 후손 덕수(德洙)가 1626년(인조 4)에 『목은집』을 간행했고, 다시 1686년(숙종 12) 대구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한 바 있다.[3]

이색의 시문은 문학 작품으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 말의 지식인 사회와 정치 상황을 알아보는 사료로서도 귀중하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목은집 이색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목은집 종선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주석

  1. "목은집", 『두산백과』online.
  2.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목은집",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김용걸, "목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용걸, "목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목은집", 『두산백과』online.
  • 김용걸, "목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목은집",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