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목왕정충록
Encyves Wiki
류인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22일 (수) 17:41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무목왕정충록.png |대표명칭= 무목왕정충록 |한자명칭= 武穆王精忠錄 |로마자명칭= Mumokwang jeongchungrok |영문명칭...)
무목왕정충록 | |
한자명칭 | 武穆王精忠錄 |
---|---|
영문명칭 | A translated novel of a story '대송중흥통속연의' |
간행시기 | 1700년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4-6806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9.0×23.3㎝ |
판본 | 필사본 |
수량 | 7책 |
표기문자 | 한글 |
개요
웅대목(熊大木)이 송나라 충신ㅇ인 악비(岳飛)의 충정을 소재로 지은 '대송중흥통속연의'를 번역한 소설이다.
내용
북송 말년에 금나라의 군사를 거듭 물리친 악비는 진회(秦會)의 계략으로 죽지만, 그 충성스러운 영혼은 끝까지 나라에 충성하고 진회는 나중에 저승에서 천벌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장서각 소장본은 전체 12책 중 7책만 남아 있는데, 권12 끝에 필사기와 영조가 악비를 치제하며 지은 제문을 번역하여 수록하고 있다. 각 책에는 항아리(樽) 모양의 소장인과 함께 '영빈방(暎嬪房)'이 찍혀 있어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이씨(영빈이씨)가 보았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셰지샹쟝집셔턍월샹한필셔(세재상장집서창월상한필서)'라는 필사기로 미루어 1700년(숙종26) 필사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전하는 한글소설 중 필사시기가 상당히 이른 작품이다. [1]
관련항목
중심 | 연결정보 | 대상 |
---|
시간정보
중심 | 시간정보명 | 시간값 |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무목왕정충록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7.39197 | 127.054387 |
참고문헌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