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산문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7일 (토) 23:53 판 (지식관계망)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미산문
(須彌山門)
대표명칭 수미산문
한자표기 須彌山門
이칭 수미산파(須彌山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황해도 해주의 수미산(須彌山) 광조사(廣照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932년(태조 15) 황해도 해주 수미산의 광조사(廣照寺)에서 이엄(利嚴)이 선법을 펼침으로써 이루어진 문파로,[1] 9산문 중 가장 늦게 개창되었다.[2]

진철대사 이엄(眞澈大師 利嚴)은 12세에 출가한 이후 896년에 중국으로 건너가 청원 행사(靑原 行思, 671-738)의 법맥을 이은 운거 도응(雲居 道膺, ?-902)의 문하에서 6년을 공부하고 법인을 받았다. 911년 귀국하여 김율희(金律熙)의 귀의를 받았으며, 고려 태조의 부름에 응해 스승의 예우를 받았다. 932년에는 해주 수미산의 광조사에서 수미산문을 개창하였다.[3]

이엄의 문하에서 처광(處光), 도인(道忍), 경숭(慶崇) 등 수백명의 제자가 배출되어 수미산파의 선풍을 계승하였다.[4]

후원세력

수미산문을 개창하는 데 고려 태조의 역할은 절대적이었다.[5] 이엄진철대사탑비(眞徹大師塔碑) 비문에는 태조가 수미산문을 지원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온다. 태조는 왕실 소유의 장전(莊田)을 광조사에 기부했는데, 이를 삼장(三莊)으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하였다. 삼장이란 토지인 양장(糧莊)과 소금밭인 염장(鹽莊), 목화밭인 면화장(棉花莊)을 말한다. 이러한 대규모의 지원으로 이엄은 수미산문을 열고 그 지역의 불교계를 장악할 수 있었으며, 또한 태조가 삼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제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6]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산선문 수미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수미산문 이엄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수미산문 해주 광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주 광조사 고려 태조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이엄 해주 광조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양개 도응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도응 이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탑비 이엄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사무외대사 고려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무외대사 이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96년 이엄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911년 이엄이 귀국함.
932년 고려 태조해주 광조사를 창건하고 이엄수미산문을 개창함.

시각자료

주석

  1. 김영태, "수미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수미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
  4. 김영태, "수미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3쪽.
  6.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79쪽.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영태, "수미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이일야, "수미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267-284쪽.
  • "수미산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