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문지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22일 (수) 08:36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언문지 |한자명칭= 諺文志 |로마자명칭= Eonmunji |영문명칭= A study book about Hunminjeongeum |작자= 유희 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언문지
한자명칭 諺文志
영문명칭 A study book about Hunminjeongeum
작자 유희 찬
간행시기 1824년(순조24)
기탁처 진주유씨 서파후손가
소장처 장서각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3.4×21.8㎝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개요

내용

유희(柳僖, 1773~1837)가 지은 훈민정음에 관한 연구서이다. 유희는 훈민정음을 ‘언문(諺文)’이라 표기하고, 훈민정음이 원나라 파스파(Phags-pa, 八思巴)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하였다. 이 책은 서(序), 초성례(初聲例), 중성례(中聲例), 종성례(終聲例), 전자례(全字例)로 구성되어있다. 초성례에서는 초성으로 쓰이는 25자모를 제시하고 도표로 작성하였다. 중성례에서는 중성(모음)의 15가지 형태를 설정하며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종성례에서는 7개의 종성을 설정하였다. 전자례에서는 초성 25자, 중성 15자, 종성 7자를 설정한 근거와 학설을 요약·집성하였다. 이 책은 종래 한자음 위주의 연구 방법을 지양하고, 우리말 위주로 문제에 접근한 첫 연구서이다. 조선 후기 훈민정음 연구서 중 뛰어난 저작으로 평가받아 현재까지 학자들의 특별한 주목을 받는다.[1]


관련항목

중심 관계어 정의 대상
언문지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언문지 창작연대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언문지 N/A N/A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42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