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 초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4일 (수) 02:02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강민첨 초상(반신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삼 초상 |한...)
이삼 초상 | |
한자명칭 | 李森 肖像 |
---|---|
작가 | 미상 |
제작시기 | 18세기 초 |
소장처 | 백제군사박물관 |
문화재지정사항 | 보물 제588호 |
유형 | 초상 |
크기(세로×가로) | 62×40㎝ |
목차
정의
조선시대 무신인 이삼(1677∼1735)의 모습을 그린 야외 초상화.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삼의 일상의 모습을 그린 야외초상화이다. 초상화의 상단에는 "이 장군을 청담이 그리다(李將軍淸潭寫)."라는 제목이 있다. "청담"은 화가의 호로 여겨지며 지방화사 내지는 화승으로 추정된다.
<이삼 초상>과 같은 야외 초상화는 중국의 경우 명, 청대 초상화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크게 유행하였으며 때로 배경은 산수화전문화가에게 맡기고 인물은 초상화가가 그리는 합작형식의 작품도 적지 않게 눈에 띈다. 하지만 조선에서 야외 초상화 형식은 <석천공한유도(石泉公閒遊圖)>나 <정약종 초상> 소수의 작품만이 전해온다.[1]
<이삼 초상>은 원래 이삼 장군 집안의 백일헌에 모셔져 있다가 현재는 논산의 백제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하는 예가 극히 드문 야외 초상화의 하나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강민첨 초상은 우안팔분면의 반신상으로서 우안의 형식은 고려시대 초상화의 특징이다. 의복은 고려시대 관리들이 일 할 때 입는 복장인 공복으로, 복두를 하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은 포를 입고 홀을 든 채 의자에 앉아 있다. 아래에는 호피가 깔려 있는데, 이것은 이모 당시인 18세기 후반의 초상화 형식이다.
강민첨의 얼굴에서 표정은 경직된 느낌을 주며 큰 귀와 작은 입, 그리고 옆으로 찢어진 눈매 등이 과장되어 있다. 특히 귀는 얼굴의 반을 차지할 정도의 크기여서 사실적이지 않은 표현을 보여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강민첨 초상(반신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강민첨 초상(반신상) | 강민첨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강민첨 초상(반신상) | 박춘빈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강민첨 초상(반신상)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강민첨 초상(반신상) | 강민첨 초상(반신상) 제기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우안팔분면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홀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공복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복두 | 강민첨 초상(반신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isShown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88년 | 강민첨 초상(반신상)이 제작되었다. |
1975년 5월 16일 | 강민첨 초상(반신상)이 보물 제588호로 지정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238510 | 126.9804700 | 강민첨 초상(반신상)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주석
- ↑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252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 자원
- "강민첨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민첨 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