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이숭인 초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3일 (화) 22:09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숭인 초상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이숭인 초상.jpg
한자명칭 李崇仁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조선 후기
소장처 고흥 성산사(성주 이씨 문중)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40×80㎝


정의

고려 말의 학자인 이숭인(1347∼1392)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숭인 초상>은 그의 부친과 조부의 초상화와 함께 고흥 성산사에 봉안되어왔다. 화폭 우측 상단에 ‘봉익대부 첨서밀직사 겸 도평의사 겸 판전교사사 우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이공 휘 숭인 진(奉翊大夫簽書密直司事兼都 評議使司使兼判典校寺事右 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李公 諱崇仁眞)”이라는 제기가 있으며 1655년, 1714년, 1744년에 개모와 중모를 했음을 밝히는 연기가 적혀 있다. 화면의 왼편 상단에는 자찬문이 적혀 있는데 이 자찬문은 『동문선(東文選)』 권51에 「고향의 승려 지암이 나의 초라한 초상화를 그려주었기에 여기 찬한다(鄕僧止庵寫余陋眞因作贊)」라는 찬문과 내용이 동일하여 초상의 작가가 승려 지암일 가능성도 있지만 단정하기는 어렵다.[1]
<이숭인 초상>은 성산사에 함께 봉안되어 왔던 고려 말 명문 성주 이씨 집안의 초상화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말 초상화의 형식이 잘 드러나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이숭인 초상>은 녹포단령각대를 두르고 의자에 앉아있는 좌안구분면의 전신교의좌상이다. 고려 말 유행한 정자 장식을 한 흑립을 쓰고 있다. 얼굴의 전체 윤곽이나 이목구비는 선을 기조로 묘사했고 영조 연간의 이모를 거치면서 음영의 사용이 혼용되었다. 얼굴의 볼살이 통통한 느낌으로 그려졌으며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인상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숭인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이숭인 초상 이숭인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숭인 초상 고흥 성산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이숭인 초상 이숭인 초상 이숭인 자찬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이숭인 이숭인 초상 이숭인 자찬문 A는 B를 썼다 A dcterms:creator B
이숭인 초상 이숭인 자찬문 동문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좌안구분면 이숭인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녹포단령 이숭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각대 이숭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흑립 이숭인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760720 127.2318780 이숭인 초상고흥 성산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145~146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김용만, "성주이씨영정",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6월 27일.

더 읽을거리

  1. 논문
    • 윤진영, 「성주이씨 가문의 초상화 연구」, 『장서각』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