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
Encyves Wiki
지장보살 (地藏菩薩) |
|
대표명칭 | 지장보살 |
---|---|
한자표기 | 地藏菩薩 |
이칭 | 광세음(光世音), 관세음(觀世音), 관자재(觀自在), 관세자재(觀世自在), 관세음자재(觀世音自在) |
관련개념 | 지장전, 명부전 |
정의
육도(六道)의 중생을 구원하는 대비보살.
내용
지장보살은 석가불의 입적후부터 미륵불이 나올때까지 무불의 기간이 있어 육도(六道)를 방황하며 고생하는 중생을 남김없이 교화 구제함을 원뜻으로 하는 보살이다.[1] 관음보살과 더불어 중생들의 현실의 삶에 가장 밀착되어 있는 보살이다. 그러나 관음보살이 일찍이 널리 신앙되어 삼국시대부터 많은 상들이 만들어진 데 비해, 지장보살은 고려시대부터 크게 유행하였다. 지장보살은 현세의 인간세계에서뿐 아니라 죽어서 지옥에 떨어진 중생까지 구원한다는 헌신적인 실천 사상으로 인하여 더욱 널리 신봉되었다.[2]
특히 악도(惡道)에 떨어져 헤매는 중생들이 성불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였으므로, 자신의 성불은 사실상 포기한 보살이다.[3]
이렇게 중생들과 늘 함께 하는 지장보살이기에 그 모습도, 당시 가장 화려한 왕족이나 귀족의 모습으로 표현한 일반적인 보살상과는 달리 평범한 비구의 모습]으로 등장한다.[4] 원래의 형상은 천관(天冠)을 쓰고 가사를 입으며, 왼손에는 연꽃을,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거나 보주(寶珠)를 들기도 한다. 또한 삭발한 머리에 석장을 짚고 여의주를 들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연명지장경(延命地藏經)』에 근거한 모습이다. 고려시대에는 두건을 쓴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였다. 지장보살은 사찰에서 지장전·명부전의 주존으로 신앙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지장보살 | 지장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장보살 | 미륵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주석
-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참조:"지장",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 조각』, 솔출판사, 2003. 온라인참조:"지옥의 중생을 구제하다, 지장보살", 한국 미의 재발견 - 불교조각,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온라인참조:"지장보살", 세계미술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위석, "지장보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