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강민첨 초상(전신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8일 (목) 21:59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화_강민첨 초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강민첨 초상(전신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민첨 초상(전신상)
한자명칭 姜民瞻 肖像
작가 미상
제작시기 조선 후기
소장처 진주 은열사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12.4×51.2㎝


정의

고려시대 명장인 강민첨(963~1021)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이 <강민첨 초상>은 진주 은열사에 소장된 두 점의 강민첨 영정 중 하나로 2005년 10월 다른 은렬공 영정의 문화재지정 신청에 따른 조사과정 중 영정을 모시는 감실의 뒤편에서 말려진 족자 형태로 발견되었다. <강민첨 초상>은 상당히 훼손된 상태였으나 화격, 채색상태, 비단재질 등을 살펴본 결과 원래 감실에 모셔졌던 영정의 범본으로 결론지어져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453호로 지정되었다.[1] 모사본 영정은 범본과 거의 유사한 형태이며 범본과 달리 삼베에 그려졌다. 이외에 거의 유사한 형태의 이모본들이 경북 금릉 숙청각과 경남 하동 두방영당, 경남 진양 산양사 등에 소장되어있다.
진주 은열사 소장의 <강민첨 초상>은 고려시대 인물의 초상화 이모본으로서 고려시대 복식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상도 지역에 봉안된 다른 영정들과 함께 범본과 이모본의 관계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높다.[2]

초상에 묘사된 모습

<강민첨 초상>은 손에는 홀을 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우안팔분면의 전신교의좌상으로 그려졌다. 복식은 고려시대 관리들이 일 할 때 입는 복장인 공복으로, 복두를 하고 둥근 깃에 소매가 넓은 포를 입고 홀을 들고 있다.
얼굴을 보면 귀가 얼굴의 반을 차지할 정도의 큰 것이 특징이다. 얼굴이나 자세, 복식이 대체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강민첨 반신상과 유사한 모습으로 동일한 원본을 이모한 것으로 보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민첨 초상(반신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강민첨 초상(반신상) 강민첨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강민첨 초상(반신상) 박춘빈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강민첨 초상(반신상)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민첨 초상(반신상) 강민첨 초상(반신상) 제기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우안팔분면 강민첨 초상(반신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공복 강민첨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복두 강민첨 초상(반신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88년 강민첨 초상(반신상)이 제작되었다.
1975년 5월 16일 강민첨 초상(반신상)이 보물 제588호로 지정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10 126.9804700 강민첨 초상(반신상)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이현주, 「晋州 殷烈祠 소장 <殷烈公 姜民瞻 影幀>」, 『문물연구』 12권,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7, 107쪽.
  2. 이현주, 「晋州 殷烈祠 소장 <殷烈公 姜民瞻 影幀>」, 『문물연구』 12권,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7, 119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웹 자원
    • "강민첨 초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