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Encyves Wiki
삼별초의 대몽항전 | |
작가 | 김서봉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배중손이 지휘하는 삼별초의 전선들이 진도에서 고려·몽고 연합군을 격퇴하는 장면을 그린 김서봉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삼별초의 대몽 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몽골과 고려 연합군을 상대로 펼친 3년간의 항쟁이다.
작품의 왼쪽 위에 작게 고려·몽고의 연합군이 삼별초를 혁파하기 위해 진도의 맞은 편에서 ①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삼별초는 평소 강화도 지역의 수비를 맡아 해상 전투에 익숙했다. 따라서 ①② 연합군의 배는 속수무책으로 가라앉고 있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전선(戰船)들에서 ①④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어 극적 효과를 더하고 있다. 좌우로 양분된 화면 오른편에는 ⑤⑥⑧⑨ 진군하는 삼별초의 모습이, 왼편에는 연기로 뒤덮인 채 ④⑦ 바다로 침몰하고 있는 연합군의 모습이 대비를 이루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해상전투가 벌어지는 진도 앞 바다로 설정되어 있다. 진도 내에는 배중손이 삼별초를 이끌고 진도로 남하하여 대몽항쟁의 근거지로 삼기 위해 쌓았다는 남도석성이 남아 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1]
지식 관계망
[사이트 이름]===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윤중식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삼별초항쟁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배중손 | 삼별초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진도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진도 남도석성 | 삼별초 | A는 B에 의해 건설되었다 | A dcterms:constructor B |
진도 남도석성 | 진도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진도 남도석성 | 진도 정충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배중손 | 진도 정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삼별초 | 삼별초항쟁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서봉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그렸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423111 | 126.973591 |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대여하였다. |
36.783745 | 127.223215 | 독립기념관이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1107년 안재후-여진정벌
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 [2]
영상
주석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