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조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1일 (목) 16:3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태조(朝鮮 太祖)
대표명칭 조선 태조
한자표기 朝鮮 太祖
생몰년 1335년(충숙왕 복위 4) 10월 11일-1408년(태종 8) 5월 24일
본관 전주(全州)
이칭 이성계(李成桂), 이단(李旦)
시호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
중결(仲潔), 군진(君晉)
출생지 화령부(和寧府: 영흥)
사망지 창덕궁(昌德宮) 별전(別殿)
시대 조선
배우자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
이자춘(李子春)
최한기(崔閑奇)의 딸
자녀 이방우(李芳雨), 조선 정종, 이방의(李芳毅), 이방간(李芳幹), 조선 태종, 이방연(李芳衍), 경신공주(慶愼公主), 경선공주(慶善公主), 이방번(李芳蕃), 이방석(李芳碩), 경순공주(慶順公主)
능묘 건원릉(健元陵)
성격
유형 인물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태조 이자춘 A는 B의 아들이다
조선 태조 신의왕후 한씨 A는 B의 남편이다
조선 태조 신덕왕후 강씨 A는 B의 남편이다
조선 태조 홍건적의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황산대첩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이지란 A는 B의 신하이다
조선 태조 위화도회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최영 A는 B와 교유하였다
조선 태조 조준 A는 B의 신하이다
조선 태조 정도전 A는 B의 신하이다
조선 태조 남은 A는 B의 신하이다
조선 태조 자초 A는 B와 교유하였다
이방우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조선 정종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이방의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이방간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조선 태종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이방연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경신공주 조선 태조 A는 B의 딸이다
경선공주 조선 태조 A는 B의 딸이다
이방번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이방석 조선 태조 A는 B의 아들이다
경순공주 조선 태조 A는 B의 딸이다
조선 태조 함흥차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창덕궁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건원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조선태조어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태조대왕태실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구리 건원릉 A는 B와 관련이 있다
조선 태조 전주 경기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김당택,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한국중세사연구』 31, 한국중세사학회, 2011, 407-445쪽.
  • 김당택,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제도개혁」, 『역사학연구』 24, 호남사학회, 2005, 137-165쪽.
  • 김정미, "태조 이성계",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 2010. 05. 23.
  • 문재윤,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동양정치사상사』 10권 1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5-28쪽.
  • 박제광, 「태조 이성계의 어궁과 궁술에 대한 소고」, 『고궁문화』 8, 국립고궁박물관, 2015, 42-72쪽.
  • 오영교,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혜안, 2004.
  • 윤훈표, 「고려말 이성계의 군사 활동과 조선 건국 주도 세력의 결집 양상」, 『한국사학사학보』 33, 한국사학사학회, 2016, 101-149쪽.
  • 이상백, 『李朝建國의 硏究 : 李朝建國과 田制改革問題』,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67.
  • 이상훈,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개경 전투」. 『국학연구』 20, 한국국학진흥원, 2012, 241-272쪽.
  • 이태문, 「이성계 전설의 인물인식과 그 특징」, 『구비문학연구』 4, 한국구비문학회, 1997, 251-279쪽.
  • 이형우, 「李成桂의 경제적 기반에 대한 연구」, 『한국사학보』 16, 고려사학회, 2004, 79-113쪽.
  • 조민, 「조선 이성계 세력과 명과의 관계」, 『동북아연구』 22권 1호,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07, 75-88쪽.
  •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 한국미술사학회, 2008, 31-65쪽.
  • 최재진, 「고려말 동북면의 통치와 이성계 세력 성장 : 쌍성총관부 수복이후를 중심으로」, 『사학지』 26권 1호, 단국사학회, 1993, 167-193쪽.
  • 하현강, "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