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선 전철
@ 일러스트 삽입 예정
영동선 전철 (嶺東線 號線) |
|
대표명칭 | 영동선 전철 |
---|---|
한자표기 | 嶺東線 號線 |
영문명칭 | Yeongdong Line |
이칭 | 영동선 |
유형 | 지명 |
관련개념 | 전기철도 |
목차
정의
강원도 강릉과 경상북도 영주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1]
내용
현재의 영동선 노선 가운데 가장 오래 전에 건설된 것은 철암선(철암∼묵호간)으로 이미 1940년 8월에 개통되었으며, 삼척선(삼척∼북평간)은 1944년 2월, 동해북부선(묵호∼강릉간)은 1963년 10월에 개통되었다. 영동선 가운데 가장 긴 구간을 차지하는 영암선(영주∼철암)은 1955년 12월 개통되었다. 영암선의 건설은 해방 이후 산업의 부흥을 위하여 최초로 계획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진다.
건립경위
1949년 정부가 수립된 뒤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는, 일제식민지 정책에 의한 파행적인 경제체제를 탈피하고 자립경제 체제를 확립하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기간산업의 육성과 함께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과 생산현장을 연결하는 철도의 부설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었다.
중앙선-태백선-영동선은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을 가졌으나,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고,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1972년 12월 6일 전철화 공사가 시작된 영동선 전철은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연간 8백 65만t이 늘어난 2천 5 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2]
의의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동선 전철 | 영동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영동선 전철 | 전기철도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영동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중앙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태백선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산업선 전철화 정책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경제개발 5개년계획 | 박정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동선, 태백선 개통[4]
영상
- KTV 대한뉴스 -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게시일: 2016년 12월 8일)
주석
- ↑ 김경추, 정암, "영동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중앙일보,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
- ↑ 김영기, 손승호,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