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호선
@ 일러스트 삽입 예정
서울 지하철 1호선 () |
|
대표명칭 | 서울 지하철 1호선 |
---|
정의
'도끼(斧)'를 '지니고(持)' 임금이 계신 '대궐(闕)'에 꿇어 '엎드려(伏)' '상소(上疏)'를 올린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도끼로 머리를 쳐 달라는 각오로 목숨을 걸고 임금에게 올리는 상소.
내용
유교적 가치관이 중심 이데올로기로 자리하였던 전근대기 군주와 신하의 관계는 '군신유의(君臣有義)'라는 말에서도 드러나듯이 매우 특별한 것이었다.
조정에 나아가 군주의 신하가 될 경우, 신하의 예를 다하여 군주를 섬긴다. 이때 신하의 예를 다한다는 것은 군주 개인에게 무조건 복종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하로서 군주를 어떻게 섬겨야 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맹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이를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군주와 신하 사이에 요구되었던 '올바름(義)'의 가치는, 군주와 신하 상호 모두에게 있어서 중요한 덕목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지부복궐상소'는 바로 그러한 맥락에서 신하된 자가 임금에게 올바름의 가치를 펴고자 했던 마음이 가장 극도로 발현된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소양강댐과 경부고속도로와 함께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3대 국책사업으로 꼽힌다.[1]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9.5km의 지하구간에 총 9개의 지하역을 두고 있다. 1974년 서울시 발행 '서울'에 실린 노선도는 지하철 건설의 대역사가 추진된 과정을 보여준다.[3]
지하철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 제29주년 광복절에 맞추어 개통되었다. 서울시 청사에 붙인 축하 현수막은 지하철의 건설이 국력과 민족의 저력을 상징하는 대공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71년 4월 11일에 서울시청에서 착공식을 한데 이어 청량리부터 시작해서 서울역에 이르는 노선을 지하로 땅을 파서 만든 작업 요즘같이 TBM으로 땅을 뚫는 방식이 아닌 이미 공사가 많이 진행되어 철골로 도로를 덮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 개통되었으나 문세광의 박정희대통령 저격사건으로 육영수여사가 피격되어 운명하자 당시 서울시장이 대신 개통테잎을 끊었죠. 원래는 광복절 기념식 후 대통령 내외분이 개통식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습니다.))))) 1971년 착공된 총 연장 9.54km에 이르는 지하철 종로선을 개통하는 것은 양택식 시장 후반기 제일의 역점 사업이었다. 1972년까지 전 공정의 47%를 완성하였고, 1973년에는 160억원을 투입하여 91%까지 완성하는 일정으로 추진되었다. 지하철 공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으로 개통에 대비하여 요원을 확보하고 해외훈련을 시키면서, 정부의 수도권 전철운행과 통합시키는 준비를 해나갔다. 1973년 들어 지하철은 구간별로 완공단계에 들어섰다. 서울시는 총 330억원을 투입하여 74년 4월까지 전 공정을 완공한다는 계획이었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지부복궐상소 | 우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부복궐상소 | 조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부복궐상소 | 최익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에 소장된 국방강화상소도[6]
영상
*한설에 핀 매화_면암선생 서거 110주년 추모공연 "최익현의 지부복궐상소"(2016.04.17)
주석
- ↑ "소양강댐",
『위키백과』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17일. - ↑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46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46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43쪽.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신봉승, 『문묘18현, 조선선비의 거울』, 청아출판사, 2010.
- 웹 자원
- "우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우탁(禹倬)", 국역 고려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정옥자,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현암사, 2002. 온라인 참조: "광화문 앞에서 도끼를 들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조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도끼를 가지고 대궐 앞에 엎드려 상소하다",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우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