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이미지 모음
개관 목차 작업실 전체 기사 목록 전자지도 파빌+영상 파빌(지침) 신규이미지 수집이미지 Icons 온톨(민족) 온톨(전체) |
중복 이미지의 경우, 아래 '번호(CXXX)'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삭제해 주세요
목차
- 1 중심기사
- 1.1 작품
- 1.1.1 C003 : 박각순-살수대첩
- 1.1.2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1.1.3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1.1.4 C016 : 이용환-귀주대첩
- 1.1.5 C017 : 안재후-여진정벌
- 1.1.6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1.1.7 C020 : 문학진-쌍성수복
- 1.1.8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1.1.9 C026 김태-육진개척
- 1.1.10 C026 강대운-진주성싸움
- 1.1.11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 1.1.12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1.1.13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1.1.14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1.1.15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1.1.16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1.1.17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1.1.18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 1.1.19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 1.1.20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1.1.21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1.1.22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1.1.23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1.1.24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1.1.25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1.1.26 C061 : 이마동-감귤
- 1.1.27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 1.1.28 C072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1.1.29 C078 : 박창돈-금성사
- 1.1.30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1.1.31 C080 : 김종하-한일합섬
- 1.1.32 C082 : 박항섭-한국기계
- 1.1.33 C083 : 이용환-삼도물산
- 1.1.34 C089 : 박광진-소양강댐
- 1.1.35 C090 : 김숙진-소양강댐
- 1.1.36 C092 : 이의주-호남정유
- 1.1.37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 1.1.38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1.1.39 C098 : 박득순-지하철
- 1.1.40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 1.1.41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1.2 작가
- 1.2.1 C107 : 강대운
- 1.2.2 C108 : 김기창
- 1.2.3 C112 : 김종하
- 1.2.4 C115 : 김태
- 1.2.5 C119 : 박광진
- 1.2.6 C120 : 박기태
- 1.2.7 C121 : 박득순
- 1.2.8 C122 : 박서보
- 1.2.9 C123 : 박석호
- 1.2.10 C125 : 박영선
- 1.2.11 C127 : 박항섭
- 1.2.12 C129 : 손응성
- 1.2.13 C130 : 신영상
- 1.2.14 C131 : 안재후
- 1.2.15 C132 : 양인옥
- 1.2.16 C133 : 오승우
- 1.2.17 C134 : 오승윤
- 1.2.18 C137 : 이마동
- 1.2.19 C139 : 이의주
- 1.2.20 C142 : 임직순
- 1.2.21 C143 : 장두건
- 1.2.22 C146 : 정창섭
- 1.2.23 C147 : 천칠봉
- 1.2.24 C148 : 최덕휴
- 1.2.25 C149 : 최대섭
- 1.2.26 C150 : 최영림
- 1.2.27 C151 : 하인두
- 1.3 소장처
- 1.1 작품
- 2 문맥기사
- 3 주석
중심기사
작품
C003 : 박각순-살수대첩
수집
- 영상 1 : 고구려의 기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 이미지 3 :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수집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수집
- 영상 2 :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4.삼국의 고분,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고대건축
- 이미지 4 :
C016 : 이용환-귀주대첩
수집
- 이미지 1 :
민족기록화 '이용환-귀주대첩'으로 제작한 우표 [8]
C017 : 안재후-여진정벌
수집
- 영상 1 : 한국의 정신- 76회 윤관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수집
- 영상 1 : 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
C020 : 문학진-쌍성수복
수집
- 영상 1 :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수집
C026 김태-육진개척
수집
- 이미지 : 1
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9]
C026 강대운-진주성싸움
수집
- 영상 2:
국립진주박물관-진주대첩,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수집
- 이미지 1 :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10]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수집
- 이미지 3 :
신규
- 이미지 11 :
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15]
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16]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17]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18]
종용사 내부[19]
종용사 현판[20]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21]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22]
순의비 모습[23]
순의비각 현판[24]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수집
- 영상 1 : 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
- 이미지 3 :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수집
- 이미지 : 2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수집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이미지 : 3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수집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수집
- 이미지 : 2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수집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수집
- 영상 : 1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수집
- 이미지 : 3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수집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
- 이미지 4 :
대마도에 위치한 최익현 선생 순국비[41]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수집
- 영상 1 :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
- 이미지 : 4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수집
- 영상 :
- 이미지 : 4
신규
- 이미지 : 5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50]
- 민족기록화 작품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빌딩소장.jpg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52]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 이미지 1 :
경기도 가평군 개곡리 새마을사업 현장을 돌아보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55]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C061 : 이마동-감귤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58호-잘사는 농촌을
- 이미지 : 2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이마동-감귤[56]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수집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마산자유무역지구 제1공구[58]
C072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68호-건설의 메아리, 대한뉴스 제 1181호-울산 석유화학 공장 준공
- 이미지 : 1
1964년 5월, 준공된 울산화학공업단지 전경[59]
C078 : 박창돈-금성사
수집
- 영상 : 2
- 이미지 : 7
1975년 준공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60]
1962년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61]
1962년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62]
1971년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63]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레인지[64]
우리나라 최초의 선풍기[65]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수집
- 영상 : 1
- 이미지 : 2
C080 : 김종하-한일합섬
수집
- 영상 3 : 대한뉴스 제 608호-건설의 새소식, 한일 합섬 섬유 공업 현장(Hanil Synthetic Fiber Co., Ltd.), MBC경남 뉴스특종영상 (2006.4.23 #한일합섬)
C082 : 박항섭-한국기계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75호-발전하는 공업 한국
- 이미지 : 2
C083 : 이용환-삼도물산
수집
- 영상 1 :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
C089 : 박광진-소양강댐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954호-소양강댐 준공
C090 : 김숙진-소양강댐
수집
- 이미지 1 :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소양강댐 사진[71]
C092 : 이의주-호남정유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729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4 :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수집
영동선, 태백선 개통[76]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수집
- 영상 1 : 지하철 영상기록 - 서울의 지하철 건설 - 공사 계획소개 - 1982년 2월
- 이미지 : 3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1971년 10월 23일 촬영)[77]
지하철 1호선 시청역-서울역 구간 건설 현장(1973)[78]
지하철 1호선 건설 현장(1973)[79]
C098 : 박득순-지하철
수집
- 영상 1 : 지하철 영상기록 -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선) 및 수도권전철 개통 시운전 - 1974년
- 이미지 : 2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1 :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수집
- 이미지 1 :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83]
작가
C107 : 강대운
수집
- 이미지 3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84]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85]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86]
C108 : 김기창
수집
태양을 머금은 새, 1968, 두방에 수묵채색, 31.5×39㎝[87]
군마도, 1964, 비단에 수묵담채, 175.5x34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88]
가을, 1934, 비단에 수묵채색, 170.5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89]
C112 : 김종하
수집
- 영상 1 : '여인의 뒷모습' 인터넷 최고 경매가
- 이미지 3 :
자연의 의미, 1971, 캔버스에 유채, 162x11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90]
여인의 뒷모습, 1980, 캔버스에 유채, 92x73cm[91]
자연의 표상, 1974, 캔버스에 유채, 72.7x60.6cm[92]
C115 : 김태
수집
- 영상 1 :
- 이미지 3
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93]
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94]
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95]
C119 : 박광진
수집
- 이미지 4 :
국보, 1957, 캔버스에 유채, 130.3x162.2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96]
닭장, 1960, 캔버스에 유채, 112.9x145.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97]
월출산, 1978, 캔버스에 유채, 50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98]
공작, 1992, 캔버스에 유채, 50x150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99]
C120 : 박기태
수집(이3)
C121 : 박득순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89호-이런일 저런일
- 이미지 4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3]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104]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5]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6]
C122 : 박서보
수집
- 영상 3 :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1,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2, 작업실(Artist & Space) - ③박서보 화백
- 이미지 4 :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7]
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8]
묘법시리즈 4, 1994, 종이에 한지,안료, 103.8×78.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09]
원형질 1-62, 1962, 캔버스에 유채, 162x13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10]
C123 : 박석호
수집
C125 : 박영선
수집
- 이미지 3
농부의 가족, 1970, 캔버스에 유채, 96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11]
모녀, 1989, 캔버스에 유채, 91×117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12]
판타지, 1957, 캔버스에 유채, 53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13]
C127 : 박항섭
수집
C129 : 손응성
수집
- 이미지 3
C130 : 신영상
수집
C131 : 안재후
수집
C132 : 양인옥
수집
- 이미지 4
소녀상, 1992, 캔버스에 유채, 117x91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16]
성산 일출, 1995, 캔버스에 유채, 61x7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17]
소망, 1983, 캔버스에 유채, 131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18]
- 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상.jpg
상, 1989, 캔버스에 유채, 광주광역시 소장
C133 : 오승우
수집
- 영상 1 :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
- 이미지 4 :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0]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1]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2]
C134 : 오승윤
수집
- 이미지 4 :
대한, 1973, 캔버스에 유채, 19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3]
해녀도, 1985, 캔버스에 유채, 192.5x33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124]
회상, 1995,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5]
C137 : 이마동
수집
C139 : 이의주
수집
C142 : 임직순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36호-제 6회 국전
- 이미지 3
모자를 쓴 소녀, 1970, 캔버스에 유채, 145.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6]
화실, 1984, 캔버스에 유채, 72.7x90.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27]
- 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 좌상.jpg
임직순, 좌상, 1957, 캔버스에 유채, 148x95cm
C143 : 장두건
수집
C146 : 정창섭
수집
C147 : 천칠봉
수집
- 이미지 3 :
10월, 1980, 캔버스에 유채, 100x80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128]
설경, 1981, 캔버스에 유채, 65x91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129]
토기, 1978, 캔버스에 유채, 112x14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130]
C148 : 최덕휴
수집
- 영상 2 : 네 벌의 군복, 어느 예술가의 초상, 최덕휴 교수 특별전 : 소요유
- 이미지 5
돌산, 1958, 캔버스에 유채, 97x14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1]
원지동의 가을, 1981, 캔버스에 유채, 84.4x180.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132]
불암산의 만추, 1972, 캔버스에 유채, 80.3×100cm[133]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1988, 캔버스에 유채, 109x33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4]
용화산경, 1982, 캔버스에 유채, 76.3x195cm, Oil on Canvas[135]
C149 : 최대섭
수집
C150 : 최영림
수집
- 이미지 5
무제(남과 여), 연도미상, 종이에 판화, 59x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6]
원태, 1969, 캔버스에 유채․토분, 116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7]
심청전에서, 1967, 캔버스에 유채․토분, 85x8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38]
경사날, 1975, 캔버스에 유채, 75x170cm, 개인소장[139]
모자, 1976, 캔버스에 유채․토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0]
C151 : 하인두
수집
- 이미지 4
자화상, 1957, 캔버스에 유채, 87.5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1]
환중 1, 1984,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2]
만다라, 1984, 캔버스에 유채, 117x80cm, 부산시립미술관 소장[143]
혼불-빛의 회오리, 1989, 캔버스에 유채, 194x26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44]
소장처
문맥기사
인물
단체
장소
문화유산
사건
개념
주석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영혼샘, "강감찬의 귀주대첩",
『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online ,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여지도_18첩4면",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동여지도_18첩3면",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이승훈",
『네이버캐스트』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고병우, "새마을과 박정희 대통령 : 가난추방 눈물의 결정",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5년 10월 29일.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제주도민이 추앙하던 박정희, 제주를 ‘미군기지’로",
『The 아이엠피터』online . - ↑ 강인범,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
- ↑ 김종경,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작성일: 2011년 06월 29일.
- ↑ "1975 준공 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
『산업단지 출범 50주년 역사관』online , 산업단지 50주년 기념행사. - ↑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광복 70년, 국민과 함께 역사를 만들다 – 광복 70년 특별기획전을 빛낸 LG 제품들",
『LG 공식 블로그』online , LG. - ↑ "1960년 수출 선풍기", 『news1』, 작성일: 2016년 8월 30일.
- ↑ "금성 흑백TV VD-191, 1966",
『네이버캐스트』online , 네이버. - ↑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2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야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여수국가산업단지",
『나무위키』online . - ↑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2월 10일.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32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32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39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년, 37쪽.
-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 인천항만공사.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좌영길,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
- ↑ "추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최은주,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
- ↑ "군마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가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자연의 의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데일리안, "김종하 화백 ´여인의 뒷모습´ 경매 기록 깰까?", 『데일리안』, 작성일: 2008년 01월 16일.
- ↑ "자연의 표상", 미술품 경매,
『포털아트』online , (주)포털아트. - ↑ "태종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탁상정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국보",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닭장",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월출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자유로, "2010 이철명 수채화전 주요작 & 초대 출품직",
『다음 블로그 - 자유로의 작은여유』online , 작성일: 2010년 10월 25일. - ↑ "2004 울산광역시 수채화 협회전,
『울산아트닷컴』online , 울산갤러리." - ↑ "박기태, 출향작가 갤러리,
『한국미술협회경상북도지회』online .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부인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형질 1-62",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농부의 가족",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모녀",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판타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여래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소녀상",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성산일출",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소망",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오승우",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대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해녀도",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회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모자를 쓴 소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화실",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10월",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설경",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토기",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돌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지동의 가을",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online . - ↑ "불암산의 만추",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용화산경",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경사날", 소장품 검색,
『감성DB』online , 호남학연구원. - ↑ "모자",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환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만다라", 소장품보기,
『부산시립미술관』online . - ↑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