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5일 (화) 15:03 판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영문명칭 Stupa of Buddhist Monk Nangwon at Bohyeonsa Temple, Gangneung
한자 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
주소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91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개청(開淸)



정의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사(普賢寺)에 있는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835-930)승탑.

내용

개요

보현사에 자리하고 있는 낭원대사의 사리탑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너져있던 것을 사찰입구에 복원해 두었다가, 1991년 다시 원래의 자리인 산꼭대기 주변으로 옮겼다.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받침돌이 없어져 아래받침돌 위에 바로 윗받침돌이 얹혀있다. 탑신의 몸돌 한쪽 면에는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새겨 두었다. 지붕돌은 두터운 편이며, 경사가 급하고,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낭원대사탑비가 고려 태조 23년(940)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탑도 이 때 같이 세워놓은 것으로 보인다. [문재]

보물 제191호. 높이 2.5m. 신라 말 고려 초의 고승인 낭원대사(朗圓大師) 개청(開淸)의 사리탑으로, 탑비가 세워진 940년(태조 23)경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부도의 형식은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일찍이 도괴되었던 것을 재건하였다.

이 때 이미 중대석(中臺石)이 없어졌고, 1976년에 사찰에서 임의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 놓았다. 지면의 넓은 8각 지대석(地臺石)위에 오똑한 8각 하대석(下臺石)이 놓였는데, 하대석 밑에 높은 받침이 있어 각 모퉁이에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가 표현되었으며, 위에는 중엽복련(重葉覆蓮)이 새겨져 있고 중앙에는 1단의 얕은 굄이 있다.

이 위에는 중대석이 놓여 있고 상대석은 원형이며 중엽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었다. 탑신석(塔身石)은 8각이고 우주형이 모각되었으며, 그 중 한면에는 문비형(門扉形)과 자물쇠가 조각되었다. 옥개석(屋蓋石)은 높고 추녀 밑에 반전(反轉)이 있으나 이면에 조식은 없다.

낙수면은 경사가 급하고 추녀 위에는 각각 귀꽃이 있었으나 모두 손상되었다. 옥개석 위에는 복발(覆鉢)과 보개(寶蓋)·보주(寶珠)의 순으로 상륜(相輪)이 얹혀 있는데, 보개는 옥개석을 축소한 형식이고 보주는 화염보주의 형태이지만 보주는 표현되지 않았고, 밑에는 앙련이 조각되었다.[민백]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A는 B에 있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개청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