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
작가 | 최대섭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항일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삼일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태화관에서 3·1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모습을 담은 최대섭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다. 이 작품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재현되어 있는데, 작품 정면에 앉아있는 손병희를 기준으로 시계 오른쪽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인물을 추정할 수 있다.
민족대표 33인 앞에 놓여진 종이는 최린의 추천으로 최남선이 작성한 3·1독립선언서로, 최남선은 "일생을 학자로 마칠 생각이라 독립운동의 표면에 나서지는 못하지만, 선언서는 작성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용운은 독립운동에 책임질 수 없는 사람이 선언서를 짓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고 자신이 맡겠다고 나섰으나, 이미 선언서의 초고가 완성되어 손질이 끝난 뒤였다. 지금 전하는 독립선언서 끝에 있는 공약 3장은 후에 한용운이 추가한 것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하여 작성된 독립선언서는 3·1독립선언서이 민족 대표로 서명하였다. 원고는 천도교에서 경영하는 보성사 인쇄소에서 2만 1,000매가 인쇄되었고, 1919년 3월 28일부터 전국 각지로 전달·배포되면서 3·1운동의 전개에 있어 결정적인 구실을 담당하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3·1독립선언서 [三一獨立宣言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태화관으로, 지금의 종로구 인사동에 있던 요릿집으로 명월관의 분점격이었다.[1] 현재 태화관이 있던 자리에는 태화빌딩이 들어섰고,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5]
- 민족기록화 작품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태화빌딩소장.jpg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최대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민족대표 33인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태화관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관련 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족대표 33인 | 독립선언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A ekc:performed B |
독립선언식 | 태화관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A ekc:isPerformedAt B |
태화관 | 태화빌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족대표 33인 | 한용운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최남선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3·1독립선언서 | 한용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3·1독립선언서 | 최남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보성인쇄소 | 3·1독립선언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최대섭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그렸다 |
1985년 | 최대섭이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그렸다 |
1919년 | 한용운은 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
1919년 | 최남선은 3·1독립선언서를 저술하였다 |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
1919년 3월 1일 14시-16시 | 독립선언식은 태화관에서 거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35383 | 127.2210151 | 독립기념관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을 소장하고 있다 |
37.5719465 | 126.9845616 | 태화빌딩은 민족대표 삼일독립선언도를 소장하고 있다 |
37.5405423 | 127.0725187 | 건국대학교 박물관은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를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천도교-손병희 불교-한용운 불교-백용성 천도교-나인협 천도교-양한묵 그리스도교-박희도 그리스도교-이승훈 천도교-오세창 천도교-최린 천도교-임예환 천도교-권병덕 그리스도교-이갑성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10]
영상
주석
- ↑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1981년, 89-94쪽.
- 웹 자원
-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태화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