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신기언해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30일 (수) 05:0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교신기언해
한글팀 태교신기언해.jpg
한자명칭 胎敎新記諺解
영문명칭 The first book of prenatal education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작자 사주당이씨, 유희
작성시기 1800년
간행시기 1938년
기탁처 진주유씨 서파후손가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5.5×18.6㎝
판본 석인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이론과 실제를 구비하여 태교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계화한 조선시대에 저술된 최초의 태교전문서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1800년(정조24)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1739∼1821)가 한문으로 짓고, 아들 서파西陂 유희柳僖, 1773~1837가 음의音義와 언해를 붙인 것을 1938년 경상북도 예천에서 간행한 태교전문 서적이다. 이 책은 사주당이씨와 아들 유희의 공동 저술이라 할 수 있다. 서두에 신작申綽(1760~1828)의 서문(1821년)과 정인보鄭寅普(1893~?)의 서문(1936년)이 실려 있고, 이어서 본 책의 본론에 해당하는 ‘태교신기장구대전胎敎新記章句大全’ 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신작이 찬술한 사주당이씨 묘지명, 유희의 발문1801년, 권상규權相圭(1874~1961)의 발문(1936년), 이충호李忠鎬의 발문(1937년), 권두식權斗植의 발문(1936년), 유희의 증손 유근영柳近永의 발문(1930년) 등이 차례대로 실려 있고, 마지막에 유희가 지은‘태교신기언해胎敎新記諺解’가 수록되어 있다. 번역문에 나오는 모든 한자마다 한글로 음을 달았으며, 여타 언해본들과 마찬가지로 한 문장씩 떼어서 먼저 한글로 토를 달고, 이어서 우리말로 옮기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저술된 최초의 태교전문서로서 이론과 실제를 구비하여 태교의 중요성과 방법을 체계화한 저술로 평가된다.[1]

태교신기언해의 저술과 편찬

사주당 이씨는 유한규의 네번째 아내(再娶)이다. 사주당 이씨는 여류문장가로 유명했으나 아들 유희에게 유언으로 『태교신기언해』만 남기고 다 불살라 버리라 하였다. 아녀자로 태어나 문장을 남기는 것을 덕으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나, 『태교신기언해』만은 남기라고 한 것을 보아 이 책에 대한 그녀의 자부심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아들 유희가 쓴 발문을 보면 『태교신기언해』는 사주당 이씨가 음식, 의서, 임산부의 금기 등을 모아 책으로 만든 『교자집요(敎子輯要)』가 바탕이 되었다. 여기에서 「양태절목(養胎節目)」만 뽑고 『소학』의 「소의(少儀)」와 「내칙(內則)」의 내용을 보충한 것에 유희가 언해를 달아 유희의 28번째 생일날 완성되었다.[2] 본래 서문은 윤상서가 쓰기로 하였으나 그가 세상을 일찍 떠나자 유희의 부탁을 받은 신작이 서문을 작성한다. 신작은 이 글에서 조종진(趙琮鎭)의『남악유진사묘지명』(유희의 묘지문)에서 『태교신기언해』가 언급된 부분을 인용하고 있다.[3]

태교신기언해의 내용과 평가

1장 「지언교자(只言敎字)」에서 태교의 이치, 2장 「지언태자(只言胎字)」에서 태교의 효과, 3장 「비론태교(備論胎敎)」에서 태교의 이유, 4장 「태교지법(胎敎之法)」에서 태교의 방법, 5~9장 「잡론태교(襍論胎敎)」에서 태교에 관한 논의, 10장 「유언태교지본(推言胎敎之本)」에서 태교의 근본을 말하고 있다.[4]정인보는 그의 책 『담원문록』에서 『태교신기언해』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또한 그 책을 구하고자 유희의 중손인 유덕영에게 찾아았으나 얻지 못하고 유덕영의 사촌동생인 유근영에게서 찾았다고 서술했다. 『태교신기언해』의 서문에서 사주당 이씨의 학문과 책의 내용이 모두 체험의 기록임을 높이 평가했다. [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태교신기언해 사주당이씨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사주당이씨 유현규 A는 B의 아내이다 ekc:hasHusband
유현규 유희 A는 아들 B를 두었다 ekc:hasSon
태교신기언해 유희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태교신기언해서문 태교신기언해 A는 B에 포함된다 dcterms:isPartOf
태교신기언해발문 [[]] A는 B에 포함된다 dcterms:isPartOf
태교신기언해서문 신작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남악유진사묘지명 유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남악유진사묘지명 태교신기언해 A는 B를 언급하였다 ekc:mentions
남악유진사묘지명 태교신기언해서문 A는 B에 포함된다 dcterms:isPartOf
남악유진사묘지명 조종진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유희 신작 A는 B와 교유하였다 foaf:knows
태교신기언해서문 권상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태교신기언해서문 권두식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태교신기언해서문 이충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태교신기언해발문 정인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담원문록 태교신기언해 A는 B를 언급하였다 ekc:mentions
유근영 정인보 A는 B와 교유하였다 foaf:knows
태교신기언해서문 유근영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dcterms:creator
유희 유근영 A는 B의 선조이다 ekc:hasDescendant
교자집요 태교신기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소학 태교신기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태교 태교신기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edm:isRelatedTo
태교신기언해 진주유씨 서파후손가 A는 B에 있었다 ekc:formerLocation
태교신기언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edm:currentLocation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0년 사주당이씨태교신기언해를 저술하였다
1800년 유희태교신기언해를 저술하였다
1821년 신작태교신기언해서문을 저술하였다
1936년 권상규태교신기언해발문을 저술하였다
1936년 권두식태교신기언해발문을 저술하였다
1936년 정인보태교신기언해서문을 저술하였다
1930년 유근영태교신기언해발문을 저술하였다
1937년 이충호태교신기언해발문을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태교신기언해를 소장하였다

시각자료

사진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1쪽.
  2. 유효실, 『《태교신기(胎敎新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7-9쪽.
  3. 정양완, 「《태교신기(胎敎新記)》에 대하여 - 배안의 아이를 가르치는 태교에 대한 새로운 글」, 『새국어생활』10, 2000, 86-90쪽.
  4. 유효실, 『《태교신기(胎敎新記)》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15쪽.
  5. 정양완, 「《태교신기(胎敎新記)》에 대하여 - 배안의 아이를 가르치는 태교에 대한 새로운 글」, 『새국어생활』10, 2000, 86-90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1. 배병철, 『다시보는 태교신기』, 성보사 부설 전통의학연수호, 2005.
    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실용서로 읽는 조선』, 글항아리, 2013.
  • 논문
    1. 여정희, 「《胎敎新記》의 胎敎思想 硏究」,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 심경호, 「사주당 이씨의 삶과 학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18, 2009.
  • 웹자원
    1. 강신항, "태교신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