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
정창섭(丁昌燮) | |
대표명칭 | 정창섭 |
---|---|
한자표기 | 丁昌燮 |
영문명칭 | Chung Chang-sub |
생몰년 | 1927년 9월 22일-2011년 2월 24일 |
출생지 | 충북 청주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 서양화가
내용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미술교육을 받은 첫 세대 화가이자 우리나라 현대미술에 있어서도 그 첫 세대 화가라 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한 그는 우리 화단에 본격적인 추상미술운동에 가담한 이래 전통과 현대라는 두 가치의 조화를 통해 자신의 회화세계를 세우고자 하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작품세계
1950년대 후반 전쟁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시대상황 속에서 젊은 작가들은 미술계를 비롯한 기성체제에 대한 저항과 도전의식을 담은 실험적인 예술을 시도하였는데, 불안하고 어두운 격정을 담은 추상표현주의 양식인 소위 ‘앵포르멜(Informel) 회화가 그것이다. 정창섭 또한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출발로 불리는 이러한 운동에 참여하였다.
1970년대 들어 전통적인 정신성과 절제된 미의식을 추구한 단색화(單色畵) (모노크롬 monochrome) 회화가 화단의 한 주류가 되면서 그는 서양의 유화를 버리고 닥지와 수성물감을 사용하여 동양의 수묵화와 같이 번지고 스미는 보다 ‘자연스러운’ 조형을 시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전통 소재인 한지로 돌아온 그는 지속적으로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과 같은 이항적인 가치의 조화를 추구하는 작품세계를 모색하였다. 그의 작업방식은 물에 불린 한지를 바탕 위에 올려 손으로 주무르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을 남기는 것이다. 재료와의 직접적이고 섬세한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러한 표현은 재료가 지닌 물질적 속성을 최대한 살려내고 작가의 의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양자가 화면 위에서 하나가 되도록 하는 조형적 의도를 담은 것이다.
이후 그는 사각의 엄격한 면 분할과 재료의 질감이 만들어내는 조형적 긴장감, 그리고 단일한 금욕적 색채로 대변되는 그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심화하였다. 이렇게 추상이라는 서구의 조형원리에 전통적인 미의식을 조화시키려한 정창섭의 작품은 한국적인 추상회화 성립의 의미 있는 결과 가운데 하나라 할 것이다.
학력
- 1951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경력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문화재 전문위원, 한국미술협회 고문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전시
- 1957 한국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61 제2회 파리비엔날레, 파리
- 1965 제8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8 한국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 제1회 까뉴 국제회화제, 칸느
- 1974 제3회 인도트리엔날레, 인도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4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90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1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2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 현대미술관
- 1995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6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2000 제3회 광주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4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1953, 55 제2, 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62 제1회 사이공국제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 1980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1987 제3회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중앙일보사
- 1993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정창섭-태백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도크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정창섭 | 모노크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정창섭 | 현대미술가협회 | A는 B의 회원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가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1975년 | 정창섭-인천항도크가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1975년 | 정창섭-태백산전투가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1976년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가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1977년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이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1979년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이 정창섭에 의해 그려졌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1]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
묵고(默考) 9680,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영상
주석
- ↑ "묵고 No.9606",
『미술작품』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닥 No. 85099",
『마이셀렙스』online , (주)마이셀렙스. - ↑ "묵고 No. 9680",
『마이셀렙스』online , (주)마이셀렙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유용한 정보
- "정창섭",
『월간미술』online . - "정창섭",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online , 예술자료원. - 고미석,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online , 2011년 02월 25일. - 박현주,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파이낸셜뉴스』online , 2010년 08월 05일. - 김경갑,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한국경제』online , 2016년 03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