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
정창섭(丁昌燮) | |
대표명칭 | 정창섭 |
---|---|
한자표기 | 丁昌燮 |
영문명칭 | Chung Chang-sub |
생몰년 | 1927년 9월 22일-2011년 2월 24일 |
출생지 | 충북 청주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서양화가 |
목차
정의
대한민국 서양화가
내용
함경남도 문천 출생이다. 서울 배재고등학교 재학시절부터 그림을 그려 1934년 도쿄 다이헤이요미술학교(太平洋美術學校)에 입학하여 유화를 공부하였다. 귀국 후 1941년부터 조선미술전람회(선전, 鮮展)에 사실주의 화풍의 작품을 출품하여 입선과 특선을 하였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추천작가, 초대작가, 심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전쟁 중에는 종군화가단장으로 활동하였다.
향토적인 소재를 사실적 자연주의 화풍으로 표현한 그의 작품은 뛰어난 묘사력과 풍부한 서정성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해방 이후 국전을 대표하는 소위 ‘아카데미즘 회화’의 대표적인 화가 중 한사람으로 꼽히며 후학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꽃과 과일을 소재로 한 정물화, 사실성과 더불어 대상의 내적인 심리를 담아낸 여인상을 비롯한 인물화, 친숙한 모습의 자연을 담은 풍경화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재현하는 그의 그림은 능숙한 필치와 묘사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서정미를 잘 표현하고 있다.
학력
- 1938년 일본 태평양미술학교 졸업
경력
- 서울대학교, 수도여자사범대학, 상명여자사범대학, 영남대학교 교수
- 한국미술협회 초대 이사장,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신미술회, 한국사생회 회장
전시
- 1949-81, 제1-30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국립현대미술관
- 1951-53 공군종군화가미술전, 익산, 대구
- 1958-68 목우회전, 국립중앙공보관
- 1972 한국 근대미술 6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3 한국현역작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 한국미술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 한중현대서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한국인물화전, 호암갤러리
- 1990 박득순 유작전, 서울 프레스센터
- 1992 한국근대미술명품전, 호암갤러리
수상
- 1939 조선 미술전람회전 입선
- 1941-43 조선미술협회전 특선
- 1972 대한민국 예술원상
- 1982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 1989 예술문화 대상 외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정창섭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박득순-현대조선소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박득순-지하철 | A는 B를 그렸다 | |
정창섭 | 대한민국예술원 | A는 B의 회원이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3년 | 박득순-현대조선소가 박득순에 의해 그려졌다 |
1975년 | 박득순-지하철이 박득순에 의해 그려졌다 |
1978년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이 박득순에 의해 그려졌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2]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3]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4]
영상
주석
- ↑ "자화상",
『마이셀렙스』online , (주)마이셀렙스.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한국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 12 박득순, 금성출판사, 1982.
- 『박득순화집』, 동아일보사, 1990.
유용한 정보
- "박득순",
『월간미술』online .
주석
작가소개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로 꼽히는 정창섭은 해방 후 국내에서 교육 받고 자란 미술 1세대 화가로 한국적 전통의 종이와 미감을 접목한 추상미술로 한국미술의 정체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왔다.
'은둔의 화가'로도 불리는 정창섭 화백은 서울대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서울대 미대 교수로 30여년간 재직하면서 평생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캔버스에 유채로 그린 '공방'(239×129㎝)으로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한 그는 1960년대 서양미술 사조였던 앵포르멜 회하에서 시작하여 한국 추상미술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한 모노크롬 회화(단색화)를 이끌었던 주역 중 한 명이다. 서양화를 전공했지만 유화의 기름지고 끈적이는 성질이 불편했던 그는 1970년대부터 한지의 소재인 닥을 물감의 대체물로 이용하여 평생토록 일관되게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 이질적 개념이 합치되는 '물아합일'의 세계를 추구했다.
1970년대 '귀'연작을 시작으로 한국의 전통적 재료인 한지로 회귀한 정창섭은 1980년대 닥을 주재료로 '닥' 연작을 시작한다. 물에 불려 반죽을 만들고, 이것을 캔버스에 올린 뒤 손으로 펴고 두드린 후 이를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나타나고, 원래 갖고 있던 색이 드러난다. 작업하는 과정작가의 손이 들어갔으나 시간을 두고 기다림으로써 결과적으로 특유의 형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손가락 틈새로 닥의 섬유질이 새어 나오기도 한다. 이 상태에서 건조하면 닥 고유의 선과 주름이 캔버스에 형성된다.
그의 마지막 연작 '묵고'는 정 화백의 대표작으로 1990년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의 연작들과는 다르게 좌우대칭의 엄격한 면의 분할과 구획, 그리고 단단하고 균일하게 다듬어진 마티에르로 인해 팽팽한 평면성이 긴장감을 더한다. 또한 '그리지 않은 단색화' 작가로 잘 알려진 정 화백의 이전 작품들과 다르게 다양한 색이 사용되었다.
학력
- 1951년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경력
- 앙포르멜 운동 활동
- 1961년 파리비엔날레 선외 10인으로 선정
- 1961년-1993년 서울대 미술대 회화과 교수
- 1969년-1971년 문화재 전문위원
- 1961년-1970년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 예술인 총연맹 예술윤리위원
- 한국미술대전 운영위원
- 한국미술협회 국제위원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전시
- 1957년, 자유 초대 미술전, 서울
- 1957년, 한국 현대작가전, 뉴욕 월드하우스화랑
- 1958년-1969년, 현대작가 초대전, 경복궁미술관
- 1961년, 제2회 파리 비엔날레, 파리
- 1962년, 제1회 사이공 국제 비엔날레, 사이공
- 1962년, 한국 현대작가 33인전
- 1962년, 한국 현대작가 초대전, 마닐라
- 1962년, 국제 자유 미술전, 동경
- 1962년-1964년, 악듀엘전, 경복궁갤러리
- 1963년, 제3회 문화자유 초대전
- 1965년, 제1회 대한민국 국민미술전
- 1965년, 제8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상파울로
- 1965년, 극동작가 초대전, 뉴욕 메이시백화점
- 1966년, 제2회 한국 현대판화가 10인 초대전, 신세계미술관
- 1966년, 말레이시아 한국 현대미술전, 말레이시아
- 1966년, 제5회 문화자유 초대전
- 1966년-1972년, ISPAA전, 서울, 오사카
- 1968년, 한국 현대회화전, 동경 국립근대미술관
- 1969년, 제1회 까뉴 국제 회화제, 칸느
- 1969년, 제1회 피스토이아 국제 회화 비엔날레, 피스토이아
- 1969년-1972년, 한국 현대회화전, 인도, 아프가니스탄, 네팔 등
- 1970년, 단체전, 공간화랑
- 1972년, 한국 현대미술전, 동경 하루구화랑
- 1973년, 한국 현대미술전, 하와이 다운타운갤러리
- 1974년, 제3회 인도 트리엔날레, 인도
- 1974년, 제10회 아세아 현대미술전, 동경
- 1977년, 한국 현대미술대전 :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워크 온 페이퍼전, 견지화랑
- 1978년,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중앙 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한국미술-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년, 한국 현대작가전, 뉴질랜드
- 1980년, 국제 판화 드로잉 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년, 제1회 국제미술교류전, 세종 문화회관
- 1981년, 현대작가 드로잉전, 동산방화랑, 아트코아화랑
- 1981년-1984년, 오늘의 작가전, 미술회관
- 1982년, 한국 현대미술 위상전, 교토 시립미술관
- 1982년-1983년, 현대종이의 조형-한국과 일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3년, 한국 현대미술전, 밀라노
- 1983년,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하나의 양상, 동경도미술관
- 1983년, 한국 전위 창작 7인전, 대북 일화랑
- 1983년, 한.미 판화 드로잉 교류전
- 1983년, 한국 현대미술 7인의 작업전, 진화랑
- 1983년-1995년, 에꼴 드 서울전, 관훈미술관
- 1983년 5월 18일-5월 27일, 개인전, 진화랑
- 1984년, 초대전, L.A아트코아센터
- 1984년, 오늘의 미술-수상작품에서 파트 1,83 컬렉션을 중심으로, 동경도미술관
- 1984년, 서울 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1984년, 60년대의 한국미술, 앙포르멜과 그 주변, 워커힐미술관
- 1984년, 한국 현대미술전, 대북 시립미술관
- 1984년, 한국 현대미술 8인의 흰색전, 프랑스문화원
- 1984년 9월 7일-21일, 개인전, 두손갤러리
- 1985년, SPACAE85전, 말레이지아
- 1985년, 한국양화 70년전
- 1985년, 초대전, 아트코아 센터
- 1985년, 현대미술 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5년, 현대 한국인의 종이예술, 센추럴워싱턴대학
- 1985년, 개인전, 우에다갤러리
- 1985년, 개인전, 두손화랑
- 1985년, 개인전, 청탑화랑
- 1985년 12월 21일-12월 30일, 초대 개인전, 청탑화랑, 동경 상전갤러리
- 1986년, '86 서울.아시아현대미술전
- 1986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 금석한국 고미술과 한국 현대미술전, 교토
- 1986년, 살롱 데자르띠스뜨프랑세, 파리 그랑팔레
- 1987년, 한국 현대미술 4인전, 삿포로
- 1987년, 제8회 오늘의 작가전, 관훈미술관
- 1988년,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미술관
- 1988년, 한국미술의 모더니즘 : 1970-79전, 현대미술관
- 1988년, 국제 현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제24회 서울올림픽 아트.국제현대미술관 한국의 4인전, 동경화랑
- 1989년, 중국 현대미술전, 북경 궁성박물관
- 1989년, 단체전, 북경 궁성박물관
- 1989년, 히로시마의 마음전, 광도 현대미술관
- 1990년, 90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현실과 발언 10년전, 관훈미술관
- 1990년, 탈장르의 기수전, 현대무역센타
- 1990년, 1945-1990 판문점과 브란덴부르그전, 시공화랑
- 1990년, 한국 현대미술-그 원류를 찾아서, 토탈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0년, 90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1년, 오늘의 작가 9인전, 진화랑
- 1991년,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I부전, 한원갤러리
- 1991년, 제2회 도쿄 아트 엑스포
- 1991년, 충북 아트 페스티발-제1부 : 원로작가전, 창갤러리
- 1991년, 충북 미술작품 순회전, 청주 국립박물관 외 5곳 순회
- 1991년, 현대미술 5인전, 한국미술관
- 1991년, 한국 현대미술 초대전, 선재 현대미술관
- 1991년, 한국 현대미술의 한국성 모색 I부전, 한원갤러리
- 1991년, 리버풀 테이트 갤러리 출품작가 6인전, 나비스화랑
- 1991년, 모노크롬에서 모노크롬에로, 동경미술관
- 1991년, 현대미술 25인전, 현대화랑
- 1992년, 자연과 함께, 테이트화랑
- 1992년, 한국 현대미술전, 선재 현대미술관
- 1993년, 한국 현대미술 12인전, 궁성현미술관
- 1993년-1995년, Nicaf Yokohama-국제 현대미술, 요코하마 등
- 1993년 11월 3일-22일, 개인전, 호암갤러리
- 1994년, 서울 국제 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현대 한국회화전, 호암갤러리
- 1994년, 한국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개인전, 동경화랑
- 1995년, 현대미술 5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5년, 앱소루트 L.A. 인터내셔널 비엔날레 인비테이셔널 1995, 마크무어갤러리
- 1995년, 서울 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5년, 한국 현대미술 파리전, 코르들리에미술관
- 1995년, 한국의 자연 : 명상-표출, 박여숙화랑
- 1995년, 국내외 작가 52인전, 현대갤러리
- 1996년 2월 1일-25일, 1970년대 한국의 모노크롬, 현대갤러리
- 1996년 5월 15일-6월 30일, 한국추상회화의 정신전, 호암미술관
- 1996년, 블랙 앤 화이트, 서미갤러리
- 1996년, 개인전, 현대갤러리
- 1996년 7월, 서울대 개교50주년 기념 미술대학 동창전, 서울대학교 박물관
- 1996년 10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과 한국현대미술전, 서울대학교 박물관
- 1996년 11월 5일-11월 20일, 개인전, 갤러리현대
- 1997년 6월 11일-18일, 97 바젤국제아트페어, 스위스 바젤
- 1997년 5월, 한국현대미술 7인전, 마산문화방송 아트홀
- 1997년 6월, 한국미술의 지평을 열면서, 갤러리우덕
- 1998년, 정부 소장 미술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1998년 5월 15일-9월 6일, 침묵의 화가, 몽벨리야르미술관
- 1998년, 제6회 호주 아트페어, 멜버른
- 1999년, 개인전, 시공화랑
- 1999년, 개인전, 동경화랑
- 1999년, 한국미술 50년 : 1950-1999, 현대갤러리
- 1999년 10월 19일-10월 30일, 개인전, 박여숙화랑
- 2000년, 정신으로서의 평면, 부산시립미술관
- 2000년, 제3회 광주 비엔날레, 광주시립미술관
- 2000년, 정신의 풍경, M갤러리
- 2000년, 스스로 自 그러할 然, 포스코미술관
- 2000년, 조선조 백자와 현대미술전, 박여숙화랑
- 2000년 10월 4일, 현대미술 12인전, 서화갤러리
- 2000년, 한국 현대미술의 시원, 국립현대미술관
- 2000년 2월 18일-3월 5일, 새천년의 지평전, 갤러리현대
- 2000년 3월 17일-5월 14일,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 2001년 9월 4일, 개인전, 표갤러리
- 2002년 2월 3일-28일, 시카고 아트페어, 박여숙화랑
- 2003년, 쾰른 아트페어, 박여숙화랑
- 2003년, 한-일 현대회화전, 진화랑
- 2003년 4월 1일-12일, 개인전, 유로갤러리
- 2004년, 개인전, 조현갤러리
- 2004년 9월 25일-10월 31일, 한국의 평면회화, 어제와 오늘, 서울시립미술관
수상
- 서울대 미술대 졸업미술전람회 총장상
-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55년, 제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 1962년, 제1회 사이공 국제 비엔날레 동상 및 ESSO상 베트남
- 1980년,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문예진흥원
- 1987년, 제3회 중앙 문화대상-예술상 중앙일보사
- 1993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
주요작품
- 정창섭-공방.JPG
- 정창섭-귀.JPG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정창섭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정창섭-태백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도크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A는 B를 그렸다 |
정창섭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정창섭 | 모노크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관계속성 |
---|---|---|---|
정창섭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A는 B를 그렸다 | 1977년 |
정창섭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A는 B를 그렸다 | 1979년 |
정창섭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정창섭 | 정창섭-태백산전투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도크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정창섭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공간정보
중심 | 연결정보 | 공간정보이름 | 경도 | 위도 |
---|
그래프
참고문헌
- "정창섭", 『월간미술』, 월간미술. 2017년 03월 16일 확인.
- 고미석,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 2011년 02월 25일. 2017년 03월 16일 확인.
- 박현주, "(26) 한국 추상미술 대표작가 정창섭 화백", 『파이낸셜뉴스』, 2010년 08월 05일. 2017년 03월 16일 확인.
- 김경갑, "닥종이로 만든 단색화...정창섭 화백 유작전", 『한국경제』, 2016년 03월 01일. 2017년 03월 16일 확인.
- "정창섭",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예술자료원. 2017년 03월 15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