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현욱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0일 (일) 23:17 판 (새 문서: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현욱 |영문명칭=Hyeonuk |한자=玄昱 |생년=788년(원성왕 4) |몰년=869년(경문왕 9) |시호=원감(圓鑑) |호=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현욱(玄昱)
BHST Monk1.png
대표명칭 현욱
영문명칭 Hyeonuk
한자 玄昱
생몰년 788년(원성왕 4)-869년(경문왕 9)
시호 원감(圓鑑)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동명(東溟: 현재의 강원도 강릉)



정의

내용

가계와 탄생

탄생설화

유년기

출가수행

구법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868년(경문왕 8) 현욱은 제자인 심희(審希)에게 그에게까지 이어진 선법(禪法)의 맥을 간략히 설명하고 심등(心燈:부처와 조사로부터 이어진 깨달음의 맥)을 전하였으며, 이 법을 믿고 부지런히 정진할 것을 당부한 뒤 입적하였다.[1]

이러한 내용은 경명왕이 비문을 지은 심희의 탑비에 기록되어 있다.

Quote-left.png 함통(咸通) 9년(868, 경문왕 8)에 선대사(先大師: 원감)가 병이 들어 대사를 불러 이르되 "이 법은 본래 인도에서 중국으로 와서 한 번 꽃이 피자 여섯 잎[2]이 번성하였다. 대대로 서로 이어받아 끊어지지 않게 했는데, 내가 이전에 중국에 유학하여 일찍이 백암(百巖)을 사사하였다. 백암은 강서(江西)를 잇고 강서는 남악(南嶽)을 이었으니 남악은 곧 조계(曺溪)의 맏아들이며 달마의 현손이다. 비록 신표로 주는 가사는 전하지 않았으나 심인(心印)을 서로 전수하여 멀리 여래의 가르침을 이어받고 길이 가섭의 종지를 열었다. 너는 마음의 등불로써 전해받고 내가 맡기는 것을 법신(法信)으로 삼아라"하고 아무 말 없이 조용히 열반에 들었다. Quote-right.png
출처: 하일식, 「봉림사 진경대사비」,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위석, "심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여섯 잎(六葉)은 중국 선종의 6대 조사, 즉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을 가리킨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