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Encyves Wiki
이색(李穡) | |
대표명칭 | 이색 |
---|---|
한자표기 | 李穡 |
생몰년 | 1328년-1396년 |
본관 | 한산(韓山) |
시호 | 문정(文靖) |
호 | 목은(牧隱) |
자 | 영숙(穎叔) |
시대 | 고려 |
대표저서 | 목은문고(牧隱文藁), 목은시고(牧隱詩藁) |
부 | 이곡(李穀) |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14세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 중서사 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 생원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고,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하였다.[1] 1353년(공민왕 2) 향시(鄕試)와 정동행성(征東行省)의 향시에 장원 급제하였고 1354년 서장관(書狀官)으로 원나라에 가서 회시(會試)에 장원, 전시(殿試)에 차석으로 급제, 국사원편수관(國史院編修官) 등을 지내다가 귀국하였다.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자 성균관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金九容)·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강론하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2] 정몽주가 피살되자 관련되어 다시 금천(金川)·여흥(驪興)·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1395년(태조 4) 한산백(韓山佰)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의 사대부(士大夫)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故山)에 파묻을 뿐이라 하였다. 다음해 피서차 여강(驪江)으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했으므로 그 사인(死因)에 대하여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3]
이색은 문하에 권근(權近)·김종직(金宗直)·변계량(卞季良)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었으며 고려 말에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4]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색",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