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성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17일 (화) 22:42 판 (가상현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공간정보

개요

진주는 삼국시대 백제의 땅으로 신라와 접경한 최전선에 위치하여 두 나라 간에 전략적인 요충지로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났던 곳이다. 삼국이 통일 된 이후에도 진주는 중요한 거점으로 인식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섬멸하기 위한 기지로서 역할했다. 조선시대에도 경상도와 전라도을 연결하는 요충지로, 도호부가 설치되었고 경상우병영의 역할을 담당했다.

진주성은 백제 때 건설되었으며 당시에는 거열성지(居烈城址)로, 산성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동쪽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강변 절벽 위에 성채가 만들어졌고 서쪽으로는 하천이 있어 천혜의 요새였다. 본시 토성이던 것을 고려조 우왕 5년(1379)에 진주목사 김중광(金仲光)이 석축하여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를 방비하는 기지로 사용되었다. [1]

1591년(선조 24년) 7월, 경상감사 김수(金수:1537∼1615) 진주성을 수축하고 외성(外城)을 쌓았고, 1592년 10월, 임진왜란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진주목사 김시민(金時敏:1554∼1592)이 3,800명의 군사로서 3만 여명의 왜적을 물리쳐 진주성대첩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인 1593년 6월에는 왜군 10만 여명이 침략하여 끝내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 민관군이 순절하는 비운을 겪었다. 1604년에 합포(合浦, 마산(馬山))의 우병영을 진주성으로 옮겨 온 이래로 경상우도 병마절도영이 있었으며, 고종 32년(1895) 5월부터는 진주관찰부, 건양 원년(1896) 8월부터는 경상남도관찰사의 감영이 있었다. 그리하여 1925년까지는 경상남도의 도청이 있었다.

성의 둘레는 1.7㎞이다. 성내(城內)에는 촉석루·창열사·의기사·북장대·서장대·영남포정사·국립진주박물관·진주성임진대첩계사순의단·촉석문·공북문·호국사 등이 있다 [2]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강대운이 그린 진주성싸움의 배경이 되었던 장소로 삼국시대에 처음 축성되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는 군관민들의 항쟁으로 왜군을 막아낸 곳이다. 1592년 진주목사 김시민이 제1차 진주성 전투 (10월5일~10월10일)에서 전라도로 진출하려던 왜군을 대파한 곳으로, 이 전투는 임진왜란 3대첩중의 하나로 꼽힌다.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는 6만여명의 군관민이 최후까지 항쟁하다 장렬하게 순절하였고, 전사한 의병장 최경회의 후처인 논개는 적장 게야무라 로쿠스케(毛谷村六助)를 껴안고 의암에서 남강에 투신하였다.


가상현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관계 노드
진주성 ~의 배경이 되었다 진주성싸움


참고

  1. 네이버백과사전, '진주성'
  2. 문화재청, '진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