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

Encyves Wiki
류인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5일 (수) 17:09 판 ({{PAGENAME}}의 작자 김천택에 대하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구영언
한글팀 청구영언.png
한자명칭 靑丘永言
영문명칭 Collection of Korean songs compiled by Kim
작자 김천택
간행시기 18세기
소장처 국립한글박물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6.5×18.0㎝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1728년(영조 4) 김천택(金天澤)이 편찬한 가집(歌集)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해동가요(海東歌謠), 가곡원류(歌曲源流)와 함께 3대 시조집의 하나이다. '청구'는 본래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이고,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 김천택은 우리 노래가 구전으로만 읊어지다가 없어짐을 한탄하여, 후세에 전하고자 이 책을 편찬했다고 한다. '청구영언'이란 제목을 가진 책이 여러 종 존재하는데 이 책들은 이름이 '청구영언'으로 동일하지만, 제각기 특색을 지니며 내용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원전으로 추정되는 진본에 수록된 작품 수는 580수이다. 정윤경(1681~1757) 서문에 이어 본편은 작가의 연대와 신분, 작품의 내용, 곡목 등이 기준에 따라 13항으로 나누어 작품을 수록하였다. 악조별 6수, 고려말 6수, 조선왕조 203수, 임금의 시 5수, 여항(여항) 6인의 65수, 규수(규수) 3인의 5수 등 580수의 시조를 실었다. 뒤에는 김천택 자신의 자서와 마악노로(마악노초)의 발문이 실려 있다. [1]

청구영언의 작자 김천택에 대하여

김천택(?-?) 자는 백함, 또는 이숙, 호는 남파이다. 본관과 생몰년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680년대 말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 근거는 『고금창가제씨(古今唱歌諸氏)』의 나열 순서로 보이는 김수장보다 몇 살 연장자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김수장의 출생년이 1690년(숙종 16)임으로, 김천택 출생년은 1680년대 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김천택의 가계와 신분도 확실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해동가요』의 작가제씨(作歌諸氏)에는 숙종 때의 포교(捕校)라 소개되어 있다. 대체로 가객(歌客)으 신분이 중인계층으로 관직생활은 젊었을 때 잠시 지냈고 대부분의 시간은 가인 가객으로 지낸 것 같으니 가계와 신분을 확실히 알 수 없다. [2]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천택 청구영언 A는 B를 저술하였다
고금창가제씨 김천택 A는 B를 언급했다
고금창가제씨 김수장 A는 B를 언급했다
고금창가제씨 숙종 A는 B를 언급했다
청구영언 정윤경 서문 A는 B를 포함한다
청구영언 마악노초 발문 A는 B를 포함한다
3대 시조집 해동가요 A는 B를 포함한다
3대 시조집 가곡원류 A는 B를 포함한다
3대 시조집 청구영언 A는 B를 포함한다
청구영언 국립한글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세기 청구영언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1185 126.98094 청구영언은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7쪽.
  2. 최동원, 청구영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4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 權斗煥, 「金天澤의 身分에 대하여」, 『靑坡文學』, Vol 13, 1980, 106-114쪽 .
    • 김선기, 「김수장의 김천택 시조 수용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Vol 83, 2012, 145-179쪽.
    • 강혜정, 「김천택의 교유와 《청구영언》의 편찬 과정 검토」, 『한국고시가문화연구』, Vol 26, 2010, 5-33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