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다리
Encyves Wiki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무관의 복식 중 군복 구성요소의 하나.
기원
- 조선전기 융복(戎服)에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군복의 소매를 좁게한 간편한 복식이 요구.
-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좁은 소매에 대한 논의가 거듭되면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갑옷이나 융복 이외에 간편한 복장의 군복이 요구되어 협수와 전복 또는 쾌자라는 양식의 복식이 등장."[1]
- 동다리형 협수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문효세자(1782~1786)의 斂襲衣 중에 포함: "협수의 겉감은 연두색 화단(花緞)에 수구는 대홍색 운문단이며 안은 진홍색 광직(廣織)이다."[2]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왕․문무백관들이 모두 몸을 가볍고 편하게 하기 위하여 입었던 복장으로 행행(幸行)이나 호위복, 외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을 때와 국난을 당하였을 때 입었던 의복.
내용
1) 동음이의어: 협수(夾袖), 동다리는 <궁중발기>의 표현.
2) 구성
- 동다리의 형태는 직령의 깃이 달리고 소매 전체 또는 소매의 일부가 붉은색의 옷감으로 장식하고 안은 청색계열로 받침. 양옆에는 무가 달려있으며, 무 양옆과 뒷중심선이 트여 활동성을 강조. 붉은 소매부분은 화려함과 더불어 위엄과 용맹을 나타내고, 좁은 소매와 트임으로 활동적이게 함.[3]
- 동다리 위에 전복(戰服)을 더하고 광대(廣大)와 전대(戰帶)를 매며, 전대에 병부를 차기도 함. 전립을 쓰고 등에 통개(筒箇)와 화살, 환도(還刀)를 찬 후 목화를 신어 군복의 일습 갖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