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6일 (금) 21: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淸道 雲門寺 雪松大師碑)
BHST Unmunsa seolsong stele-1.jpg
대표명칭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영문명칭 Stele for Buddhist Monk Seolsong at Unmunsa Temple, Cheongdo
한자 淸道 雲門寺 雪松大師碑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찬자 이천보(李天輔)
서자 이정보(李鼎輔), 이익보(李益輔)
각자 미상
서체 전서(篆書), 해서(階書)
승려 연초(演初)
건립연대 1754년



정의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雲門寺)에 있는 설송대사 연초(雪松大師 演初, 1676-1750)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임진왜란 이후 운문사(雲門寺)를 크게 중창한 설송대사(雪松大師)를 기념하기 위해 1754년(영조 30)에 세워졌다.[1] 높이 190㎝, 너비 87㎝, 두께 33㎝이며, 윗부분이 둥근 호패 모양의 비신(碑身)이 네모 모양의 비 받침 위에 고정되어 있다.[2]

비문

비신의 앞면에는 설송대사(雪松大師)의 비를 제작한 이유와 휴정(休靜)의 문도를 하나로 통합한 내용 등 대사의 생애와 행적이 실려있다. 대사가 입적한 후 사리 8과를 운문사(雲門寺)통도사(通度寺)에 나누어 간직한 내용도 실려 있다.[3] 뒷면에는 설송 대사 제자들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다.[4]

비문의 찬자와 서자

이 비의 비문은 이천보(李天輔)가 짓고, 이정보(李鼎輔)가 본문을 썼으며,[5] 이익보(李益輔)가 "설송대사비명(雪松大師碑銘)"이라는 제액(題額)을 썼다.[6]

이들은 모두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이정구(李廷龜)의 현손들이며, 한 집안의 종형제 셋이 비문 하나를 짓고 쓰고 제액을 하는 일은 기이하고 드문 일이다.[7] 이천보는 비문의 서문에서 자신의 조상대부터 4대에 걸쳐 휴정의 법맥을 이은 승려들의 비문을 지었으며, 자신이 설송대사의 제자인 남붕(南鵬) 등의 요청으로 비문을 짓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8]


Quote-left.png 전에 우리 5대조 월사공(月沙公: 이정구)께서는 휴정대사(休靜大師: 서산대사)의 비명(碑銘)을 썼고, 고조 백주공(白洲公: 이명한(李明漢))께서는 언기대사(彦機大師)의 비명을, 종증조 정관공(静觀公: 이단상(李端相))께서는 의심대사(義諶大師)의 비명을, 종조 지촌공(芝村公: 이희조(李喜朝))께서는 설제대사(雪霽大師)의 비명을 쓰셨다. 휴정으로부터 설제까지는 4대인데 그 비명이 모두 우리 집안에서 4대째 나왔으니 매우 기이한 일이다. 영남(嶺南)의 승려 남붕(南鵬)이 그의 스승 연초대사(演初大師: 설송대사)의 비명 때문에 와서 나를 만났다. ...(중략)... 나는 본래 불교의 문자를 좋아하지는 않으나 대사와는 5대의 정의가 있으니 어찌 사양하겠는가? 그러므로 마침내 명을 썼다. Quote-right.png
출처: "운문사설송대사비",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연초 A는 B를 위한 비이다 1754년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이천보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이정보 A는 B가 비문을 썼다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이익보 A는 B가 비문을 썼다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청도 운문사 A는 B에 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6쪽.
  2.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6쪽.
  4.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5쪽.
  7.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8.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2014 금석문 탁본 조사 보고서 - 경상북도 I』,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14, 94-99쪽.
  • 최인표, "운문사 설송 대사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운문사설송대사비",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8 - 팔공산자락』, 돌베개, 2009. 온라인 참조: "운문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팔공산 자락,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