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
대표명칭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
한자 |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
이칭 | 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입석리) 실상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4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미상 |
서자 | 미상 |
각자 | 미상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수철(秀澈) |
건립연대 | 905년 |
승탑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수철(秀澈, 817-893)의 탑비.
내용
개요
탑비는 대석(臺石), 비신(碑身), 이수(螭首)로 구성되어 있다.
수철화상(秀澈和尙)은 893년(진성왕 7) 5월 4일 입적하였는데, 탑비의 뒷면에 새겨진 음기(陰記)에 따르면, 탑비는 905년(효공왕 9) 10월 15일에 세워지고, 1714년(숙종 40)에 중건되었다.[1]
비문의 찬자·서자·각자는 알 수 없으며, 비문에는 관직명만이 남아 있다. 비문의 글씨는 당대를 전후하여 성행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2]
탑비의 형식은 당시의 일반적인 탑비 형식과 달리 귀부(龜趺)가 없고 대신 안상(眼象) 6구를 새긴 장방형의 대석 위에 비를 세웠으며, 비좌(碑座)에는 큼직한 복련(覆蓮)을 둘렀다.[3] 이수에는 여의주를 중심으로 다투는 듯 두 마리의 용이 좌우 대칭으로 자리 잡고 그 사이를 운문(雲文)으로 채운 형태가 전후면에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면에는 ⌂형으로 액(額)을 마련 후 '능가보월탑비(楞迦寶月塔碑)' 라는 전액(篆額)을 새겼다.[4]
비문
비문은 마멸과 결락이 심하여 판독에 어려움이 많으며, 그로 인해 연구자마다 각기 다른 판독문을 제시하고 있다.[5] 비문에는 수철화상의 출생에서 입적 및 조탑(造塔) 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수철화상은 실상사에서 입적하였으나 원래는 심원사(深源寺)의 승려이었기 때문에 비문에는 '심원사□□□국사수철화상(深源寺□□□國師秀澈和尙)'으로 쓰여 있다.[6]
비문의 찬자에 대한 추정
현재까지 이 비문의 찬자는 정확히 알 수 없는데, 일각에서는 비문에 남아있는 관직명과 문체를 토대로 비문의 찬자를 최치원(崔致遠)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 근거로는 당대 최고의 문필가와 서법가가 비문을 짓는 다는 점과, 그들이 역임한 직함을 있던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과, 그들의 글짓는 습관이 비문에 나타난다는 점이다.[7]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먼저 세련되고 정제된 변려문(騈儷文)[8]의 진수를 보여주는 최치원의 글과 비교하여 수철화상탑비의 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최치원은 898년 정월 해인사 중창과 관련된 글을 찬술한 시점에는 사실상 관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던 상태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 비문이 찬술된 시점인 905년 경에 최치원이 중국에 사신으로 파견되고 또 비문을 작성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남원 실상사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제13권, 한국국학진흥원, 2014, 13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3 : 신라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건조물문화재(석조) 정기조사서", 보존방안 목록,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확인:2017년 4월 12일. - ↑ 비문 판독은 다음의 연구를 참조할 수 있다.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제1호,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제11권,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제13권, 한국국학진흥원, 2013.
- ↑ 김응현,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1,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289-293쪽.
- ↑ 한문 문체의 일종. 문장이 4자와 6자를 기본으로 한 대구(對句)로 이루어져 수사적(修辭的)으로 미감(美感)을 주는 문체로, 변(騈)은 한 쌍의 말이 마차를 끈다는 뜻이고, 여(儷)는 부부라는 뜻이다. "변려문",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의 판독과 찬자(撰者)·서자(書者)에 대한 검토」, 『역사와현실』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220-221쪽.
참고문헌
- 추만호, 「심원사 수철화상 능가보월탑비의 금석학적 분석」, 『역사민속학』제1호, 한국역사민속학회, 1991.
- 정병삼, "심원사 수철화상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제3책,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 정선종, 「실상사 수철화상탑비의 음기와 중건에 대하여」, 『불교문화연구』제11권, 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09.
- 최경선, 「〈영원사수철화상비〉의 판독과 찬자·서자에 대한 검토-신라 마 당 관제의 수용과 정치운영과 관련하여-」, 『역사와현실』제101호, 한국역사연구회, 2016,
- 하일식, "심원사 수철화상비", 『한국금석문집성』제13권, 한국국학진흥원, 2013, 13-24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1 : 고려5 비문5",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