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Encyves Wiki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
대표명칭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주제 | 가례(嘉禮) |
작성주체 | 가례도감(嘉禮都監) |
의례담당자 | 이광좌(李光佐)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727년(영조 3)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2책 426장(상책 259장, 하책 167장) 태백산: 총 1책 330장 |
크기 | 어람용: 48.4×35.2 태백산: 46.6×32.5 |
도설 | 11면(채색) |
반차도 | 어람용: 12면(채색) 태백산: 13면(채색) |
목차
정의
1727년 효장세자(孝章世子)와 현빈(賢嬪)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727년 윤3월 29일 내년 봄에 치르려고 했던 효장세자의 가례를 앞당겨 올해 안에 거행하도록 명하는 영조의 전교에 따라 7월 16일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이후 8월 28일 최종 간택(삼간택)을 거쳐 현빈이 낙점되었으며 이후 9월 20일 납채 , 9월 21일 납폐, 9월 24일 고기, 9월 27일 책빈 , 9월 29일 친영과 동뢰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예관(禮關), 의주(儀註),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서계(書啓),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하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별공작(別工作)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32), (253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105), 태백산본(奎 13106), 오대산본(奎 1310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27년 | 효장세자와 현빈의 가례가 거행되었다 |
1727년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