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도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4일 (수) 22:10 판 (참고문헌)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산구곡도
한글팀 고산구곡도 02.png
한자명칭 高山九曲圖
영문명칭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작자 미상
작성시기 1688년-1701년
소장처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 수록
유형 회화
판본 종이에 수묵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율곡 이이(李珥, 1536-1584)가 경영한 황해도 고산군 석담에 있는 고산구곡을 그린 그림이다. 이이는 36세인 1571년(선조4) 고산구곡을 찾아 각 곡(曲)의 이름을 짓고 이곳에서 은거의 뜻을 밝혔다. 고산구곡도는 이이의 후학들에게 기호학파(畿湖學派)의 학통을 상징 하는 그림으로 널리 유행하였다. 이 〈고산구곡도〉는 현존 사례 가운데 제작 시기가 가장 올라가며,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권상하(權尙夏, 1641-1721)가 주도하여 1688년(숙종14)경에 완성한 그림이다. 그림의 전체 구성은 왼편 제1곡에서 시작하여 오른쪽 제9곡에 이르기까지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각 곡에는 주요 경물의 명칭을 적어놓았고, 고산구곡의 실경과 고산구곡가의 시어(詩語)를 절충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두루마리 위쪽에는 각 곡마다 3편의 시가 적혀 있다. 김수증(金壽增, 1624-1701)이 한글로 쓴 이이의 고산구곡가가 먼저 나오고, 이를 송시열이 한문으로 번역한 시와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등 9명이 쓴 무이도가(武夷棹歌) 시를 차운한 시가 순서대로 적혀 있다. 여기에 적힌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17세기 후반기의 한글 표기법을 참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1]

부연설명

  • 주희(朱熹)가 만년에 은거하면서 경영한 무이정사(武夷精舍)와 무이구곡(武夷九曲)의 자연을 읊은 「무이도가(武夷櫂歌)」를 본떠 율곡은 은병정사(隱屛精舍)를 세웠고, 1578년에는 「고산구곡가」를 지었다.[2]
  • 율곡의 고택은 황해도 해주시 고산면 석담리에 있으며, 종택은 9곡 중 4곡과 5곡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고 한다.[3]
  • 1688년은 〈고산구곡도〉 자체가 처음 완성된 연도이고, 이후로 1701년 사이에 걸쳐서 추가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4]
  • 이 전시자료의 원본은 전하지 않고, 『조선사료집진』(하) 속에 사진으로만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5]
  • 또 다른 〈고산구곡도〉로 1781년(정조 5년)에 정조의 명으로 그려진 것도 있다.[6] 각기 다른 시점에 제작된 〈고산구곡도〉들은 병풍이나 판화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전해지고 있다. 본 전시자료는 상기 도록 해설문에 언급된 바와 같이, 현전하는 '고산구곡도' 중 가장 오래 전에 제작된 것으로 꼽힌다.
  • 전시자료 도록에서 "작자 미상"이라고 했는데, 이는 본 〈고산구곡도〉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참여를 했지만 그 범위와 주체가 명확하게 판가름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산구곡도 조선사료집진 A는 B에 담겨있다
고산구곡도설 고산구곡도 A는 B를 묘사하였다
고산구곡도 기호학파 A는 B와 관련이 있다
고산구곡도 고산구곡가 A는 B를 담아냈다
고산구곡도 고산구곡가 A는 B를 포함한다
권상하 고산구곡도 제작 A는 B를 주도하였다 1688년
고산구곡도 제작 고산구곡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88년 송시열의 의도에 따라 그의 제자 권상하가 주도하여 1688년경에 〈고산구곡도〉가 처음 완성되었다.
1688년-1701년 최초 완성된 〈고산구곡도〉에 추가적인 작업들이 이루어졌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미상 미상 율곡의 고택은 황해도 해주시 고산면 석담리에 있으며, 종택은 9곡 중 4곡과 5곡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고 한다.[7]
다만 이 지역은 북한에 속한 곳으로서, 위치 비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N/A N/A 고산구곡도의 원본은 전하지 않고, 『조선사료집진』(하) 속에 사진으로만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시각자료

사진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2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2.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6년 12월 22일.
  3. 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85쪽.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 해주시", 본문검색, 『네이버 책』online. 최종확인: 2016년 12월 22일.
  4. "고산구곡도 판화", 『위키백과』online. 최종확인: 2016년 12월 26일.
  5. "고산구곡도 판화", 『위키백과』online. 최종확인: 2016년 12월 26일.
  6.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6년 12월 22일.
  7. 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85쪽.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 해주시", 본문검색, 『네이버 책』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고산구곡도설」 : 이창희·장정수·최호석 편, 『옥소고』 제11권(다운샘, 2007), 448~451쪽.
  • 율곡 고택 : 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85쪽.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 해주시", 본문검색, 『네이버 책』online. 최종확인: 2016년 12월 22일.

유용한 정보

  • "고산구곡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6년 12월 22일.
  • "고산구곡도 판화", 『위키백과』online. 최종확인: 2016년 12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