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Encyves Wiki
김사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2일 (월) 23:19 판 (개요)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한자 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이칭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彰聖寺眞覺國師大覺圓照塔碑)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천로392번길 372(매향동)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14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01월 21일
찬자 이색(李穡)
서자 미상
각자 혜잠(惠岑)
서체 해서(楷書)
승려 천희(千熙)
건립연대 1386년



정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진각국사 천희(眞覺國師 千熙, 1307-1382)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높이 151㎝, 너비 21㎝ 이다. 우왕의 명령으로 이색(李穡)이 비문을 짓고, 승려인 혜잠(惠岑)이 각자하였으며, 글씨를 쓴 사람은 마멸로 알 수 없다.[1]

직사각형의 비받침 위에 비몸돌을 세운 다음 지붕돌을 올려놓았다. 비문을 새긴 비몸돌은 마멸이 심하고 오른쪽 모서리가 떨어져 나갔으며, 지붕돌은 경사면이 완만하다. 간략화된 고려 후기 석비의 형식을 보이고 있으며,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보물 제251호)와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보물 제229호),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보물 제230호) 등과 비교할 만 하다.[2] 글씨는 앞면의 자경은 2.2㎝, 후면은 1.5㎝이다. 구양순(歐陽詢) 서체에 근거를 두고 있으나 고려 초기·중기의 주경(遒勁: 붓의 힘이 굳셈)하고 금석기 있는 풍모가 거의 사라진 투박한 것으로서 고려 말의 글씨가 퇴보하였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전액의 자경은 6㎝이다.[3] 1963년 보물 제14호로 지정되어 있다.

비문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진감선사 혜소 A는 B를 위한 비이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하동 쌍계사 A는 B에 있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887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썼다 887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환영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사산비명 A는 B에 포함된다
헌강왕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887년

시각자료

가상현실

  • 차후 있을 답사 후 보완..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백
  2. 문화재청
  3. 민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