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
|
대표명칭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
한자 |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
이칭 |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碑) |
주소 |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658호 |
문화재 지정일 | 1979.05.22 |
찬자 | 권근(權近) |
서자 | 천택[1] |
각자 | 미상 |
승려 | 혼수(混修) |
승탑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
|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1320-1392)의 탑비.
내용
개요
비신 높이 322㎝, 너비 115.5㎝, 두께 20.5㎝. 비는 1장의 돌로 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돌이 서 있는데, 위로 머릿돌을 따로 얹지 않고, 몸돌 양 귀퉁이를 접듯이 깎아 마무리해 놓았다.[2] 비 앞면의 하단부와 뒷면의 상단부가 파손되었으며 여러 부분이 마멸되었다. 1394(조선 태조 3)년에 문인(門人)인 희진(希進)이 탑비를 세웠다. 비문은 권근(權近)이 짓고 글씨는 승려 천택(天澤)이 썼으며, 각자의 이름은 마멸되어 알 수 없다.[3] 글씨는 북위의 묘지명과 왕희지(王羲之), 그리고 우세남(虞世南) 등의 서풍들을 잘 융합하여 썼는데 필력이 뛰어나고, 결체가 조밀하여 빈틈이 없다. 또한 고박(古朴: 옛 풍미가 있어 질박함)과 신운(神韻: 신비롭고 고상한 운치)이 함께 어우러진 것으로서, 중국의 어느 명품에도 뒤지지 않을 만한 서격(書格)을 지니고 있다.[4]
비문
비문에 보각국사의 이름은 혼수(混修), 자는 무작(無作), 호는 환암(幻菴), 속성은 조씨, 풍양현 사람이며, 보각국사와 탑명인 정혜원융은 시호임이 나타나 있다. 이밖에 [[혼수|보각국사]가 1320년(충숙왕 7)에 출생하여 계송(繼松)에게 법을 받고, 1332년(충혜왕 2)에 승과에 급제한 뒤, 1370년(공민왕 19)에는 공부선장(工夫選長)에 뽑혔으나 거절하였고, 그 뒤 왕의 청으로 내불당(內佛堂)에서 왕에게 법을 가르쳤다는 내용이 쓰여 있다. 또 1383년(우왕 9)에 국사가 되고 73세에 입적한 일, 그리고 국사의 덕과 지혜는 나라에서 추앙할 만하여 왕명으로 비를 세운다는 명문이 적혀 있다.[5]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혼수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충주 청룡사지 | A는 B에 있다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권근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천택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조선 태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A는 B의 이름을 지었다 |
참고문헌
- 이지관,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 환암 정혜원융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3, 30-63쪽.
-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忠州靑龍寺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靑龍寺址普覺國師塔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 ↑ 서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비문을 판독 번역한 이지관은 서자 이름 부분이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하였으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의 설명에는 승려 천택이라 기술하고 있다.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