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Encyves Wiki
김사현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5일 (월) 10:2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대표명칭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자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이칭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靑龍寺普覺國師定慧圓融塔碑)
주소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658호
문화재 지정일 1979.05.22
찬자 권근(權近)
서자 천택[1]
각자 미상
승려 혼수(混修)
승탑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청룡사지(靑龍寺址)에 있는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1320-1392)의 탑비.

내용

탑비

비신 높이 322㎝, 너비 115.5㎝, 두께 20.5㎝. 석재는 화강암으로, 개석은 없고 네모난 대석(臺石)과 비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 앞면의 하단부와 뒷면의 상단부가 파손되었으며 여러 부분이 마멸되었다.[2]

비는 1장의 돌로 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돌이 서 있는데, 위로 머릿돌을 따로 얹지 않고, 몸돌 양 귀퉁이를 접듯이 깎아 마무리해 놓았다.[3]

비문

Quote-left.png 문인들이 부도 옆에 탑비를 세우기를 계획하고 스님의 제자인 만우로 하여금 행장을 짓게 하고 소안이 이를 갖고 가서 왕에게 아뢰었다. 그리하여 왕이 신 근(권근)에게 명하여 비문을 지으라고 하였다. ... (중략) ... 갑술년 3월 에 문인 선사 희진은 비를 세우고 문인인 선사 □□는 글자를 새기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충주 청룡사 보각국사 환암 정혜원융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조선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3, 58쪽.


비문은 권근(權近)이 짓고 글씨는 승려 천택(天澤)이 썼으며, 문인(門人)인 희진(希進)이 세우고, 각자의 이름은 마멸되어 알 수 없다. 1394년(태조 3) 3월에 건립되었다.

글씨는 북위의 묘지명과 왕희지(王羲之), 그리고 우세남(虞世南) 등의 서풍들을 잘 융합하여 썼는데 필력이 뛰어나고, 결체가 조밀하여 빈틈이 없다. 또한 고박(古朴: 옛 풍미가 있어 질박함)과 신운(神韻: 신비롭고 고상한 운치)이 함께 어우러진 것으로서, 중국의 어느 명품에도 뒤지지 않을 만한 서격(書格)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전 조선시대에 걸쳐서도 이 비에 필적할 만한 글씨가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4]

관련항목

node relation node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는 -를 위한 비이다 혼수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는 -의 승탑이다 혼수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는 -에 위치한다 충주 청룡사지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는 -가 비문을 지었다 권근
태조 는 -의 이름을 지었다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참고문헌

주석

  1. 서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비문을 판독 번역한 이지관은 서자 이름 부분이 결락되어 알 수 없다고 하였으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화재청 문화재검색의 설명에는 승려 천택이라 기술하고 있다.
  2.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碑)",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4.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忠州靑龍寺址普覺國師塔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